<사고> 대한민국 독도 사진전
지역뉴스 | 사고 | 2022-08-10 11:41:26독도 사진전, 이정호 작가


9월 7일-10일 한인회관
이정호 작가 작품 60점
애틀랜타 한국일보가 오는 9월 7일-10일 나흘 동안 애틀랜타 한인회관에서 ‘대한민국 독도 사진전’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회에 출품된 60점의 대형 사진작품은 대한민국 최고의 독도 전문 사진작가이자 세종독도연구소 소장인 이정호 작가가 지난 10여년 이상에 걸쳐 직접 촬영한 작품들입니다.
본보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대한민국 독도의 사계절을 담은 아름다운 풍경을 한인 2-3세를 포함한 동포들과 2022 애틀랜타코리안페스티벌에 참가하는 다민족에게 알리며, 더 나아가 한류의 한 줄기로 K-포토의 우수성을 홍보할 예정입니다.
예술적 가치가 높은 작품들만 선별해 전시하기 때문에 전시회에 오셔서 작품을 감상하는 것 만으로도 심신이 정화되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작품 사이즈는 세 종류로 1)가로100cm X 세로70cm=40점, 2)가로120cm X 세로80cm=10점, 3)가로150cm X 세로100cm=10점 등입니다. 최신 디아섹 공법으로 제작해 100년 이상을 보관해도 탈색이 되지 않는 작품으로, 소장가치는 물론 선물용으로도 최적입니다.
통상 이 작가의 작품이 한국에서 팔리는 가격에서 특별 할인해 작품을 판매할 예정입니다. 사전구매를 원하는 분에게는 작품 목록을 보내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성원과 참여를 당부 드립니다. 문의=770-622-9600(회사), 404-518-4188(편집국장)


‘서울의 봄’ 평일에도 흥행질주… ‘분노의 심박수 인증' 챌린지도 줄이어
영화 ‘서울의 봄’의 한 장면/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연합> 최근 극장가에서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김성수 감독의 ‘서울의 봄’이 평일에도 압도적인 1위로 신작들

조지아 최초 한인 시장 후보 존 박의 공약은
언스트 전 시장 유산 '계승 vs 뒤집기'시청/시티센터 건립 놓고 치열한 공방 조지아주 최초의 한인 시장에 도전하는 존 박 후보가 12월 5일 결선을 앞두고 경쟁자인 로렌 키퍼 후

미국내 한인 불체자수 26년래 최저
퓨리서치센터 발표2021년 현재 10만명출신국가별 16번째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불법체류자수가 26년래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최근 발표한 미국

2030 젊은층도 고혈압… 원인은 ‘비만’과 ‘스트레스’
‘침묵의 살인자’… 잘 인지 못하고 방치 전 세계 유병률 1위인 고혈압은 심장·뇌· 콩팥 관련한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킨다. 특히 기온이 떨어지면 근육·혈관이 체온 유지를 위해 수축

베트남전 참전 한인 미 보훈 의료 ‘지연’
법안 바이든 서명불구 베트남전에 참전해 자유 진영을 위해 싸웠던 미국 내 한인 시민권자들에게도 미군 참전용사들과 동일한 의료 혜택을 제공하는 내용의 ‘미주 한인 베트남전 참전용사

“행복하려면 120만 달러는 있어야”
미국 성인들 설문조사 흔히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없다고 말하지만 최근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다고 응답했고 평균적으로 120만 달러가 필요하다

켄터키주 2세 여아, 최연소 멘사 회원 기록 경신
'최연소 멘사 회원' 기록을 경신한 미국 켄터키주 아이슬라 맥냅[기네스 세계 기록 웹사이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미국 켄터키주의 여자 어린이가 두 살의 나이에 '지능지수(I
한국내 외국인 보유 토지 미국인이 절반 이상 소유
주택 소유는 중국 이어 2위 한국에서 외국인이 보유하고 있는 토지 가운데 절반 이상은 미국 국적자가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으로 외

“딜러십 무관심·무능… 전기차 판매 확대 최대의 적”
서비스·부품 수입 낮아…개솔린 차량판매 선호 개솔린 차량에 비해 전기차 판매에 따른 부가 수입이 적다는 이유로 딜러십들이 전기차 판매를 기피하면서 전기차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바이든, 한국기업 방문 ‘바이드노믹스’ 홍보
조 바이든 대통령이 29일 콜로라도주 푸에블로의 CS윈드 공장을 방문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29일 콜로라도주 푸에블로의 CS윈드 공장을 방문해 자신의 경제 정책 ‘바이드노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