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저녁을 함께 하자는 지인의 전화를 받았다. 그의 남편 기일이 곧 다가오는지라 행여 힘들진 않을까 서둘러 나갔다. 다행히 예상보다 침착한 모습이었다. 마주 앉은 그가 식탁 위로 슬며시 올려놓은 종이 가방 속엔 내 생일 선물이 들어 있었다. 그 남편의 기일 다음 날이 내 생일이다. 그래도 그 와중에 내 생일을 잊지 않고 챙기다니,
손으로 꾹 눌러야 할 만큼 가슴이 저릴 때가 있다. 절벽 끝에 홀로 선 것 같은 누군가의 마음을 헤아려 볼 때가 그렇다. "잘 다녀왔어?" 남편의 목소리가 사라진 집안 곳곳에 문신처럼 박힌 남편의 흔적들을 무엇으로 지우며 지냈을까? 저절로 눈이 떠진 햇살 맑은 아침, 침대 한 쪽 텅 빈 끝자락을 바라볼 때, 남편의 이름이 적힌 우편물을 만날 때, 가닥가닥 매듭 졌던 서글픔이 한꺼번에 풀려 버려 꺼이꺼이 목 놓아 운적은 없었는지.
살다 보면 예기치 못했던 폭풍 때문에 낯선 곳으로 밀려가는 일이 생긴다. 특히 죽음은 우리네 삶에서 피할 수 없는 폭풍이지만 늘 뒷전에 둔다. 지난 몇 해 동안에 세 명의 지인을 잃었다. 그의 남편이 그중 한 사람이었다. 늘 가까이에서 나를 염려해주었던 사람들, 미래에도 함께 있을 거라 그냥 믿었던 사람들이었다. 이제 내 생애에서 다시 만날 수 없는 그들을 생각하면, 지금 내가 누리는 행복의 가치가 새삼 달리 느껴진다.
속으로 말을 삼켰다. 절대 안정을 취한다고 상실의 아픔이 치유될 수 있을까. 무력감을 이겨내는 일이 어찌 짧은 순간에 이루어질 수 있으랴. 그래, 내가 겪어보지 못한 고통을 섣불리 위로할 수는 없다. 그건 섣부른 말 동냥일뿐이다. 겨우 새살이 차오르는 상처에다 소금을 뿌리는 게 될 까봐 위로의 말도 조심스러웠다.
유행가 가사처럼 세월이 정말 약이 되면 좋겠다. 아프고 고된 삶이어도, 행복했던 기억들을 떠올리며 살다 보면 나아질 거라고 믿고 싶은 건 내 이기심일까? 삶의 길목에서 만나는 힘든 일을 혼자 겪어내는 그를 생각하면 내 가슴에도 돌무더기가 쌓인다. 트라우마를 극복해야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라 행복해지면 절로 극복되는 것이 트라우마라는 데, 그가 빨리 행복해졌으면 좋겠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아침결에 닥터 오피스에 모시고 갔던 할머니 생각을 했다. 차를 타고 내리는 게 힘드셨던지 "이렇게 힘든 데 더 살면 뭐하겠냐."고 속내에도 없는 불평을 하셨다. 평소에도 까다로운 할머니다. 조그만 증상에도 병원 응급실을 찾고, 뾰루지 하나에도 의사에게 당장 가야 한다고 채근하는 할머니다. 구 십 세가 훌쩍 넘은 사람도 장수를 바라며 사는 데, 아내와 어린 아이들을 두고 떠나야만 했던 젊은 사람들의 마음을 어찌 가늠할 수 있으랴.
'구구 팔팔 이삼 사'라는 신조어는 아흔아홉 살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이 삼 일만 아프다가 죽자는 희망사항이다. 그렇다. 나 역시 가능한 한 오래 살고 싶다. 의학의 발달로 이젠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그러나 하늘 아래 영원한 것은 없다 하지 않던가. 언젠가 친구에게 “이렇게 좋은 세상에서 오래 살고 싶은데, 앞으로 살날은 점점 짧아지네.” 라고 했더니, 친구가 정색하며 말했다. " 혹시 천국 가서 누릴 영생을 이 세상에서 가불해서 살 수는 없을까?" 친구와 함께 배를 잡고 웃었었다.
인간사는 '생로사(生老死)'가 아니라 '생로병사'다. 병(病)이 들면, 시도 때도 없이 이별해야 하는 게 우리네 덧없는 인생살이다. 죽음과 맞서다 떠나간 사람들이 애끓게 갈구했을 그 생명, 그 삶을 영위하는 내가 지금 이 순간을 절실하게 살아야 하는 까닭이 바로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