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엘리트 학원
첫광고
김성희 부동산

[수필] ‘삶’은 달걀이다

지역뉴스 | 외부 칼럼 | 2025-05-31 18:14:53

수필,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삶’은 달걀이다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미국 크래딧 교정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냉면 위에 얹힌 삶은 달걀을 입에 쏙 집어넣은 순간, 전화벨이 울렸다. 낯 선 번호였다. 얼떨결에 받은 전화 속 목소리를 듣자마자 ‘아차! 방심했구나.’ 반갑지 않은 사람이었다. 맛나게 먹으려던 달걀이 목에서 딱 걸렸다. 

그의 전화는 늘 일방적이었다.  내가 그를 언제부터 알게 되었는지 확실하지는 않다.  맨 처음 전화를 받았을 때, 당시 신문에 연재했던 내 칼럼을 읽고 전화 하는 거라 했으니 아마 7-8년 전 즈음이지 싶다.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이야기를 두서없이 풀어 놓고는 다짜고짜 해결책을 대라는 거였다. 글 쓰는 분이니 책도 많이 읽었을 테고, 그런즉 자신의 문제도 해결해 보라면서 저돌적이었다. 도와달라는 건지 싸우자는 건지, 자초지종도 알 수 없는 남의 인생에 무슨 해답을 내놓으라는 건가, 우물쭈물하는 사이 그가 먼저 전화를 탁 끊어버렸다.

그 후 잊을 만하면 전화가 왔었다.  번번이 제 할 말만 퍼붓고는 끊었다. 어떤 때는 내 속이  뒤집어져 확 전화를 끊고 싶었지만, 오죽 답답하면 생면부지인 사람에게 전화해서 한바탕 쏟아낼까. 그래,  어쩌면 생판 모르는 사람에게 속을 푸는 게 더 편할지도 모르지. 꾹 참었다. 인생길에 딱 맞는 해답이 어디 있나. 쭉쭉 뻗은 고속도로를 만나면 속도도 올려 보고, 풍광 좋은 산길에서는 쉬어가기도 하면서, 앞에 보이는 작은 빛 하나 바라보며 터널 속을 달리 듯 사는 게 인생지사 아니던가? 

이번에도 그의 넋두리는 변함없었다. “ 세상에 기댈 곳이 없어서 너무 외로워요. 자식도 친구도 다 만나기 싫고, 그냥 누워서 천정만 바라보면 움직이기도 싫어요. 나는 너무 힘든 데 세상은 나와 상관없이 잘 돌아가는 같아서 너무 우울해요.”그의 머릿속에서  나는 가진 자이고, 누리는 자이고 행복한 사람이다.  그는 왜 제 인생길만 가시밭길이라는 생각을 할까.  사실, 돌아보면 내 인생길도 삶은 달걀에 막힌 목구멍처럼 퍽퍽할 때가 얼마나 많았는데. 되레 평생 돈벌이 없어도 살아가는 그의 삶이 부럽다고 소리칠 판국이다. 

우울감은 누구에게나 있는 감정이다. 그럭저럭 일상을 해내려는 의지만 있다면 우울감은 질병이라기보다는 환경에서 영향을 받는 기분의 변화다. 누군가와 대화를 나누며  속을 풀어내고 위로의 말이라도 한 마디 들으면 기분이 바뀔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전에 자신의 속마음을 정직하게 들여다보고, 기분이 우울한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행여  자신도 모르는 사이 습관처럼 우울 감으로 마음을 기울이는 것 은 아닌지도 살펴야 한다.      

사십대 후반에 심한 우울감에 빠졌던 적이 있다. 인간관계에 회의가 일기 시작하더니, 마음이 너무 공허해졌다. 모임에 참석하면 우울감을 감추느라 짐짓 명랑한 척을 해야 했다. 친구가 부르면 한밤중이래도 달려 나갔던 내가 왜 이럴까? 갱년기 증상일까, 자괴감일까, 많은 생각을 했었다. 어느 날 책을 읽다가 무릎을 딱 쳤다. "사람은 스스로 선택하지 못할 때 절망을 느낀다. 그러나 가장 깊은 절망은 나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철학자 키에르케고르의 명언이었다.  

맞다. 그 당시 나를 우울하게 했던 것은 모임이나 잘난 사람들이 아니었다. 마지못해 모임에 참석하고, 나보다 훨씬 잘나 보이는 사람들 앞에서 꾸며낸 나의 위선 때문이었다. 무엇을 하고 살았든지, 무엇을 더 배웠든 가진 것이 얼마이든지 간에 그건 남의 것일 뿐이다. 남의 시선에 나를 맞추느라 지금의 즐거움을 놓치고 산다면, 이 순간의 작은 기쁨을 느끼지 못한다면, 그것이야 말로 가장 억울한 인생이 아닐까. 지금 내 눈 앞에 있는 사람도 외롭지 않은 척, 행복한 척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는 지 누가 알랴. 인간지사는 모두 도긴개긴이다.

 

삶은 달걀은 껍질째 먹을 수는 없다.  퍽퍽해서 목에 걸릴지언정 삶은 달걀은 껍질을 깨야만 맛나게 먹을 수 있다. 자, 껍질을 벗기자. '삶'은 달걀이다.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시와 수필] 파블로 네루다

박경자 (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그러니까 그 나이였어------ 시가나를 찿아왔어 ,몰라, 그게 어디서 왔는지,모르겠어, 겨울에서 인지 강에서 인지.언제 어떻게 왔는지  모르

[전문가 칼럼] 65세 메디케어 가입한 후 건강 보험의 변화를 겪게 된다면?
[전문가 칼럼] 65세 메디케어 가입한 후 건강 보험의 변화를 겪게 된다면?

65세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건강 보험의 변화를 겪게 됩니다. 어떤 이는 갖고 있던 메디케이드 혜택이 종료된다는 사실에 당황하거나 답답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번 달 칼럼에서는

[수필] 변해야 할 것과 변하지 않아야 할 것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모임이 끝난 후 회식 자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식사가 거의 끝날 무렵까지 내 앞자리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던 사람이 내게 한마디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65세 생일이 다가오는데… 아직도 직장보험을 갖고 있다면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65세 생일이 다가오는데… 아직도 직장보험을 갖고 있다면

최선호 보험전문인 '한직장'씨는 요즘 아침마다 우편함을 열 때 느끼는 게 있다. “아이고, 또 메디케어 우편이네.”  생일이 다가오니 정부며 보험사며 여기저기서 메디케어 관련 서류

[내 마음의 시] 엄마 의 날
[내 마음의 시] 엄마 의 날

박달 강 희종 (애틀란타문학회 총무)         고생하고 돌보시던저의 엄마 자식들을 소처럼 키우시는  아버지의 사업을 빚을 깊었고요 김포로 강화도로집을 인삼밭으로아들,  우리

[애틀랜타 칼럼] 성공이란 무엇인가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특별한 사람들입니다. 만약 당신이 성공의 대가를 알고 이것을 지불했다면 당신도 역시 특별한 사람으로 인정받게 될 것입니다. “위대한 인물이기는 하나 세상에 열

[벌레박사 칼럼] 교회에 쥐가 들어왔을 때 처리하는 방법
[벌레박사 칼럼] 교회에 쥐가 들어왔을 때 처리하는 방법

벌레박사 썬박 어제는 종일 쥐문제에 대해 전화를 받았다. 작년과는 달리 올해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부쩍 쥐가 늘어난 것과 같은 착각에 빠질 정도였다. 늦가을이 시작되면 쥐나

[법률칼럼] 아틀란타의 반격 2025년 미국 경제법 시리즈 마지막회 아틀란타의 동맹

케빈 김 법무사 2025년 7월, 조지아주 오거스타. 리사(Lisa)는 합작 공장 컨트롤 룸에서 한국 공급업체 윤(Yoon)과 함께 첫 AI 기반 자동차 부품 배송을 축하하며 직원

[신앙칼럼] 기도와 하나님의 나라(Prayer And The Kingdom Of God, 마태복음Matthew 7:7-11)

방유창 목사 혜존(몽고메리 사랑 한인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간략하게 정의하면 <기도와 하나님의 나라(Prayer And The Kingdom Of God)>입니다

[행복한 아침] 좋은 사람

김 정자(시인 수필가)수다꾼으로 자처한 분들의 모임에 우연하게 참석하게 되었다. 식사를 나누고 어느 분의 집으로 이동하면서 본격적 수다의 장이 열렸다. 초면이었지만 격의 없는 대화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