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이규 레스토랑
첫광고
엘리트 학원

[한자와 명언] 修 練 (수련)

지역뉴스 | 외부 칼럼 | 2024-10-30 08:57:26

한자와 명언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누가 스킨 케어

*닦을 수(人-10, 5급) 

*익힐 련(糸-15, 6급)

 

학교 교육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가정 교육’인데, 이를 문제시 삼지 아니하는 사회적 풍조 때문에, 우리 사회가 병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 ‘높은 경지에 이르려면 고된 수련이 필요하다’의 ‘修練’이란 한자어를 속속들이 익힌 다음에 관련 명언을 찾아본다.

修자는 ‘장식하다’(decorate)란 뜻을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니 ‘터럭 삼’(彡)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攸(바 유)가 발음요소임은 脩(말린 고기 수)도 마찬가지다. 후에 ‘(마음을) 닦다’(cultivate) ‘고치다’(repair)는 뜻으로 확대 활용됐다.

練자는 옷감을 삶아서 ‘하얗게 하다’(bleach)는 뜻을 위한 것이었으니, ‘실 사’(糸)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柬(가릴 간)이 발음요소였음은 鍊(불릴 련)도 마찬가지다. 후에 ‘익히다’(practice) ‘겪다’(undergo)는 뜻으로 확대 사용됐다. 

修練(=修鍊)은 ‘정신이나 학문, 기술 따위를 닦고[修] 익힘[練]’을 이른다. ‘전문의의 자격을 얻기 위해 병원에서 일정 기간의 임상 수련(修鍊)을 하고 있는 의사(醫師)’를 ‘수련의’라고 한다. 인턴과 레지던트를 이른다. 

가정 교육이 중요함을 갈파한 옛 선현의 아래 명언을 보니 이런 생각이 든다. “학교 교육은 지식인을 기르고, 가정 교육은 지성인을 기른다”(전 모).

“천하에 큰 공을 세울 사람은, 

 반드시 먼저 가정에서 수양되어 나온다.”

  建大功於天下者, 

  건대공어천하자

  必先修於閨門之內.

  필선수어규문지내

   - 한나라 陸賈.

●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고품격 한국어>,

   <선생님 한자책> 저자.

   (www.LBHedu.com)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모세최의 마음의 풍경]  삶의 슬기로운 선택
[모세최의 마음의 풍경] 삶의 슬기로운 선택

최 모세(고전 음악·인문학 교실) 맥도널드를 선호하는 S 선생님과 버거킹을 선호하는 나와의 취향이 다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햄버거 점을 찾기 전, 맥도널드나 버거킹을 선택하

[뉴스칼럼] 대통령의 언어
[뉴스칼럼] 대통령의 언어

20세기 초중반 세계 철학계를 대표했던 독일의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는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고 했다. 언어는 단순한 의사교환의 수단을 넘어 바로 인간 자체를 의미한다는 얘기다.

[삶과 생각] 이웃 4촌과 이웃 나라
[삶과 생각] 이웃 4촌과 이웃 나라

지천(支泉) 권명오(수필가 / 칼럼니스트)  조상 대대로 전해온 촌수를 살펴보면 잘은 모르지만 부부는 무촌, 부부와 자식과는 1촌, 형제 간은 2촌이고 큰아버지, 작은아버지는 3촌

[시와 수필] 국민들의 이 아픈 마음을

박경자(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지구 별 어느 낯선 고장에서는 아름다운 대통령이라는 직업을 갖은 아저씨가 살고  있었다. 가끔 꽃 리본을 달고 딸 아이의 손을 잡고 백화점 거리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메디케어 Advantage의 치과 혜택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메디케어 Advantage의 치과 혜택

최선호 보험전문인 우리말에 “이(치아)가 자식보다 낫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가 아프면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해 살맛이 나지 않기 십상이다. 치아에 문제가 있어 고생을 하는 부모에

[애틀랜타 칼럼] 일과 휴식을 조화롭게

이용희 목사 “인간은 과로가 원인이 되어 죽지는 않는다. 그의 죽음의 원인은 다름 아닌 낭비와 번민이다.”미국 최고 재판소의 배심원장이었던 찰스 웬즈 휴즈의 말이다. 쉽게 납득이

[내 마음의 시] 작은 행복
[내 마음의 시] 작은 행복

김경원(애틀랜타문학회 회원) 이른 아침 커튼을 제치며 맞는 테이블 커피 한잔 출근길차창밖에 마주치는 이웃의 손짓인사 길섶바람에 옹기종기 흔들리는 들꽃들 문득 걸려 온 절친의 따뜻한

[법률칼럼] 이민자 단속에 맞선 외침

케빈 김 법무사  지난 2월 1일, 조지아주 뷰포드 하이웨이에서 거대한 함성이 울려 퍼졌다. 1천여 명의 이민자와 그들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거리로 나와, 최근 벌어진 연방 이민당국

[벌레박사 칼럼] 쌀벌레 없애는 법

전세계적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민족은 많이 있다. 그중에 한국 사람은 어디를 가든지 항상 쌀을 가지고 다닌다. 어떤 분들은 밥을 먹어야만 배가 부르다는 말씀도 하신다. 그만큼 한

[행복한 아침] 대화는 들음에서

김정자(시인·수필가)     체험삼아 인내의 한계를 실험해 보기로 했다. 대담이 끝날 때까지 귀를 기울이기로 작정하고 대화의 귀결에 귀를 기울여 보기로 했다. 이야기를 들어줄 사람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