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호 보험전문인
'장기요' 씨는 최근 노후 계획을 점검하던 중, 아내와 이런 대화를 나눴다. “우리도 나이 들면 혹시 요양원에 들어갈 수도 있지 않을까?” “그야 뭐 그렇겠죠. 그래도 걱정 마세요. 메디케어가 있잖아요.” 그 말을 들은 '장기요' 씨는 괜히 든든한 마음이 들었다. “나라에서 주는 보험인데 당연히 요양원도 다 커버하겠지.” 그런데… 정말 그럴까?
안타깝게도, 다음이 현실이다. “ 메디케어는 장기요양을 거의 커버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요양원에 오래 머무는 비용은 대부분 ‘본인 부담’이라는 얘기다. “에이, 그래도 메디케어가 있는데 그게 말이 돼요?” '장기요' 씨처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실제로 메디케어는 아주 제한된 상황에서만 단기적으로 요양원 비용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보자. '장기요' 씨가 병원에서 큰 수술을 받고 퇴원 후 회복이 필요해 재활 전문 요양시설(SNF: Skilled Nursing Facility)에 입소했다고 하자. 이 경우 메디케어 파트 A는 아래 조건을 충족할 때만 비용 일부를 커버해 준다. 입원 치료(3일 이상)를 받은 후 바로 요양시설로 이동할 것, 의사 소견에 따라 전문 재활 치료가 필요할 것, 메디케어 인증을 받은 요양시설일 것 등이다.
이 조건을 다 충족하면, 처음 20일간은 전액 커버, 21일부터 100일까지는 본인부담금 $204/일(2025년 기준), 100일 이후부터는 전액 본인 부담. 즉, 100일 넘게 입소하면 메디케어는 한 푼도 안 내준다. 그럼 그 이후는? 본인 돈으로 내든지, 메디케이드에 의존하든지 해야 한다.
'장기요' 씨는 이 얘기를 듣고 어안이 벙벙했다. “아니, 내가 평생 세금 내고 메디케어 보험료도 꼬박꼬박 냈는데, 막상 늙어서 요양원 갈 때는 안 도와준다고요?” 그렇다. 메디케어는 ‘의료보험’이지, ‘생활 돌봄 보험’이 아니다. 즉, 의료적으로 필요한 치료는 일정 부분 지원하지만, 단순히 거동이 불편해서 또는 치매로 인해 돌봄이 필요한 경우엔 ‘장기요양’으로 간주해 보험 커버 대상이 아니게 된다.
이게 바로 많은 은퇴자들이 놓치기 쉬운 부분이다. 치매, 파킨슨병, 중풍 후유증 등으로 인해 스스로 생활이 어려워지고, 가족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요양시설에 입소해야 하는 순간이 오면, 메디케어는 손을 놓는다.
그럼, 대안은 무엇이 있을까? 본인 자산으로 비용 충당하는 방법. 요양원은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월 $7,000~$10,000 이상이 드는 곳이 대부분이다. 몇 년만 있어도 큰돈이 훌쩍 사라진다. 대안으로는 메디케이드를 신청하는 것이다. 자산과 소득 기준이 매우 낮아야 하며, 요양원에 들어가려고 일부러 자산을 자녀에게 넘기는 경우엔 ‘5년 환수 규정(Look-back Rule)’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장기요양보험(Long-term care insurance)에 가입하는 것이다. 미리 준비하면 도움이 되지만, 60대 이후에 가입하면 보험료가 매우 높거나, 건강 상태 때문에 거절당하기도 한다.
'장기요' 씨는 결국 에이전시에 상담을 요청했다. “그럼 저는 지금 준비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요?” “지금 건강하실 때 장기요양보험 검토하시는 게 좋습니다. 자녀에게 부담 주지 않으려면 미리 대비하셔야 해요.” 이렇게 현실을 알고 나니, 공짜인 줄 알았던 메디케어가 꼭 만능은 아니라는 사실이 더 분명해졌다.
정리하자면, 메디케어는 장기요양비용을 대부분 커버하지 않는다. 100일 넘는 요양원 입소는 본인 부담이다. 돌봄 서비스, 식사, 기저귀 교체 등은 메디케어 커버 대상 아니며, 재정적 대비 없으면 자산이 빠르게 소진될 수 있다.
'장기요' 씨는 마지막에 이렇게 말했다. “메디케어로 다 되는 줄 알았는데, 요양원 들어가면 내 통장부터 먼저 나가게 생겼네요.” 그 말이 딱 현실이다. 메디케어는 병원까지는 책임져도, 요양원은 책임지지 않는다. 그렇기에, 미리 준비하는 사람만이 노후를 편안하게 지킬 수 있다. 혹시 지금 부모님의 요양을 고민 중이시거나, 앞으로의 노후 돌봄 계획을 세우고 계신다면, 지금이라도 상담을 한번 받아보시길 바란다. 메디케어는 기초, 장기요양은 전략, 두 개는 완전히 다른 게임이다.
(보험 전문인 최선호 770-234-4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