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자 (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노란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습니다/나는 두 길을 다 가지 못하는 것을/안타깝게 생각하면서/오랫동안 서서 한길이 꺾이어/바라볼 수 있는 데까지/멀리 바라보았습니다./그리고 똑같이 아름다운 다른 길을 택했습니다/그 길에는 풀이 더 있고/사람이 걸은 자취가 적어 아마 걸어야 될 길이라고 생각했던 거지요/그 길을 거르므로 그 길도/거의 같아질 것이지만/그날 아침 두 길에는/낙엽을 밟은 자취는 없었습니다/아, 나는 다음 날을 위하여 한 길은 남겨두었습니다/길과 길은 맞닿아 끝이 없으므로/내가 다시 돌아올 것을 의심하면서/훗날 훗날에 나는 어디선가/한숨을 쉬며 이야기할 것입니다/숲속에는 두 갈래 길이 있었다고/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하였다고/그리고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 졌다고 -- /
(시, 로버트 프로스트 1874-1963)
미국 시인으로 1874년 샌프란시스코 출생, 잠시 영국 뉴잉글랜드 농장에서 다시 미국으로 돌아와 소박한 한 농민으로 자연을 노래한 현재 미국 시인 중 가장 순수한 고전 시인으로 꼽는다. 그의 작품 소년의 의지, 보스턴의 북쪽 출판 그는 하버드 대학 교수, 네 번이나 퓰리처상을 수상하였다.
우리 인생길에는 지나고 보니 내가 가보지 못한 길에 아쉬움이 남아 있다.
김수환 추기경님은 그의 저서에서 “내가 만난 두 여인” 이란 글을 쓰셨다.
그의 대학 시절 끈질기게 구애를 하던 두 여인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는 추경님의 그 솔직한 그 고백을 나는 좋아한다.
그가 사제 시절 기차를 타고 고향집을 방문할 때 차창 밖 멀리 바라다 보이는 아련한 불빛 동네를 지날 때면 아 -- 지금쯤 온가족이 한데모여 함께 저녁을 먹는 그들이 한없이 부러웠다고 고백하셨다.
그의 소원은 옹기 장수 어머니가 다시 살아나신다면 그 발 아래 엎드려 밤새 다리를 주물러드리는 효도를 단 5분만이라도 해드리고 싶다 고백하셨다. 추기경으로 성자의 길을 걸으시면서도 자신을 성찰하시면서 “나는 바보야” 자서전을 시리즈로 펴 내셨다. 난 내생에 존경하는 어른은 김수환 추기경 님이시다.
내 인생길에도 내가 걸어보지 못한 길이 지금도 아쉬움으로 가슴에 남아 있다.
꽃 같은 내 젊은 시절, 청파 언덕을 오르내리며 날 기다리던 뭇 청년들이 있었다.
그들은 남 달리 출세한 의학도, 컴퓨터로 한국을 대표할 정도로 출세한 청년도 있었다.
난 어려서 몰랐지만 내가 서울 대학을 졸업할 수 있는 것도 너의 아버지 덕분이라 말한 청년도 있었다. 말없이 어려운 청년을 돕고 계셨던 울 아부지, 그는 시골 농부였다.
배운 것도 많지 않으셨으나 흙에 묻혀 사시면서 팔 남매를 대학까지 보내신 지금 생각하면 흙 속에 묻혀 사신 마음 씨 좋은 어른이셨다.
‘로버트 프로스트’ 그의 이름은 서리, 즉, 아침 이슬, 이었다
그의 맑고 아름다운 시에는 한마디도 어려운 시어들이 없다.
수많은 한국 시인들이 아무도 이해하지 못한 시어를 찾아 시를 망쳤다.
시인도 모르는 언어 때문에 일반 민중은 시를 아예 못 읽거나 외면한다. 시는 본래 마음이 사특한 자는 시를 쓸 수 없다. 고 옛 고전에는 말한다. 국사를 맡기는 중요한 인물을 찾을 때마다, 그에게 시를 쓰게 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사랑받는 시는 ‘김소월 시인’의 시이다.
단 한마디 어려움 없는 국민 시인이 얼마나 많이 노래로 불리었는가 --
시인 윤동주의 ‘서시’는 하루에도 몇 번이나 내 마음에 담고 산다.
“하늘을 우러러 부끄럼 없이 살기를/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부끄러워하였다.”내 영혼의 고백 --
내 시도 아닌 그 누군가의 시 한수가 당신의 하루를 맑게 씻을 수 있는 생명수가 되길 바라는 외로운 나그네 맘으로 시를 찾는다.
그대 아름다운 것치고 외롭지 않은 것 보았는가?
보들레르의 휘 굽은 선률 아인 슈타인의 피는 우주 석가의 대비, 그리스도의 사랑이 깊은 사랑, 높은 질서, 시가 외로이 피는 꽃
이 외로움은 그대 영혼을 승화하는 것이니 그대 외로움 고이 지니고 한절의 시가 가슴에 흐르게 하라.
‘청경우독’ 자연속에서 소박한 농민과 자연을 노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