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일'씨는 65세 생일을 앞두고 오랜만에 고등학교 동창 모임에 나갔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이 하나같이 축하 인사를 건네며 “이제 메디케어 받겠네, 공짜 건강보험 시작이지!” 하고 농담 섞인 말을 건넸다. '공자일' 씨도 처음엔 그냥 그러려니 했다. “나라에서 주는 거니까 그냥 자동으로, 공짜로 나오겠지…”그런데 돌아와서 메디케어 관련 서류를 들춰보는 순간, 표정이 확 바뀌었다. “어? 보험료도 내야 하고, 디덕터블이니 코페이니 이런 말들이 왜 이렇게 많아?”
그제야 '공자일' 씨는 알게 되었다. 메디케어가 공짜라니, 세상에 그런 호사가 어디 있겠는가.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메디케어는 일부만 무료고 나머지는 유료다. 그 ‘무료’라는 것도 정확히 따지면, 예전 직장에서 일할 때 이미 월급에서 빠져나간 ‘세금’으로 미리 납부한 덕분이다. 다시 말해, 이미 낸 돈으로 받은 혜택이란 얘기다. 먼저 메디케어 파트 A(병원보험)는 40쿼터, 즉 약 10년간 근로하며 세금을 납부한 경우에는 보험료(프리미엄)가 면제된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파트 A는 공짜”라고 알고 계신데, 그건 이미 피 같은 돈을 세금으로 내셨기 때문이다. 만약 이 기준을 못 채우면, 파트 A도 매달 보험료를 내야 한다.
그리고 파트 B(외래 진료 보험)는 이야기가 다르다. 이건 누구든지 보험료를 내야 한다. 2025년 기준으로 기본 프리미엄은 월 $185이다. 소득이 높으면 IRMAA까지 붙어서 보험료가 $500을 넘기도 한다.
'공자일'씨는 이걸 보더니 이렇게 말했다. “이게 공짜면, 내가 매달 내는 이 돈은 뭐지?” 그뿐인가. 병원에 가면 끝나는 게 아니라, 본인부담금도 꽤 많다. **이게 바로 디덕터블(Deductible)과 코페이(Co-pay), 코인슈어런스(Co-insurance)**다. 용어가 어렵게 들리지만, 알고 보면 이렇다.
디덕터블: 보험 적용을 받기 전, 본인이 먼저 내야 하는 일정 금액.
파트 A는 입원 시 첫 60일까지 $1,632 (2024년 기준)
파트 B는 매년 $240 정도 (2024년 기준)
즉, 병원에 입원하거나 의사에게 처음 갈 때는 보험이 적용되기 전의 일정 금액을 본인이 먼저 낸다.
코페이: 진료나 약값을 지불할 때, 본인이 일정 금액을 부담하는 방식.
예: 의사 방문 시 $20, 응급실 $100 등
코인슈어런스: 치료 비용 중 일정 비율(보통 20%)을 본인이 부담하는 것.
예: $1,000 진료비 중 20%인 $200을 본인이 낸다.
'공자일' 씨는 이 설명을 듣고 다시 물었다. “그럼 진짜 공짜는 도대체 뭐예요?” 공짜라고 말할 수 있는 부분은 정말 제한적이다. 파트 A를 프리미엄 없이 받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일부 건강검진(예: 암검진, 독감 예방주사 등)이 ‘무상’이라는 정도다. 하지만 대부분의 진료, 검사, 입원, 수술 등은 **‘부분 보장’**이다. 또, 약값은 어떻게 되냐고? 그건 또 파트 D(처방약 보험)를 따로 가입해야 한다. 이것도 프리미엄이 따로 있고, 플랜마다 디덕터블, 코페이, 약값 차등이 있다. 그래서 '공자일' 씨는 결심했다. “이거, 나 혼자 판단해서 될 일이 아니네. 전문가랑 상담 좀 받아야겠어.”
그 판단이 옳았다. 실제로 많은 분들이 메디케어를 ‘공짜’로 오해하다가 나중에 갑자기 병원비가 수천 불씩 나오자 당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메디케어 Advantage 플랜(파트 C)에 가입하면 추가 프리미엄 없이 다양한 부가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도 많지만, 대신 네트워크 병원 제약이 생기고, 플랜마다 구조가 달라서 비교 후 선택이 중요하다. 또 하나 빠뜨릴 수 없는 게 **Supplemental Insurance(보충 보험, Medigap)**이다. 이건 파트 A와 B에서 부족한 보장 부분을 메우기 위해 따로 가입하는 보험이다. 물론 이건 또 다른 월 보험료가 발생하고, 주마다 가입 조건도 다르다. 결국 메디케어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프리미엄(매달 내는 돈), 디덕터블(보험 적용 전에 내야 하는 돈), 코페이/코인슈어런스(치료받을 때마다 드는 돈) 이 세 가지를 확실히 이해해야 한다.
'공자일' 씨는 마지막에 이렇게 정리하셨다. “세금 낼 땐 강제로 내고, 혜택받을 땐 따져가며 받아야 하네. 메디케어, 공짜가 아니네요.”그 말이 정답이었다. 메디케어는 절대 공짜가 아니다. 하지만 제도를 잘 알고, 계획적으로 준비하면 훨씬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관리할 수 있다. 혹시 지금 ‘공짜겠지’ 하고 안심하고 계신 분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프리미엄과 본인부담금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길 바란다. 그리고 언제든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저희 에이전시로 편히 문의해 주시길. 공짜보다 더 중요한 건, 준비된 보험이다.
(보험 전문인 최선호 770-234-4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