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첫광고
콜롬비아 학원
김성희 부동산

[뉴스칼럼] '집돌이' 미국인들

지역뉴스 | 외부 칼럼 | 2025-03-19 17:10:36

뉴스칼럼,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집돌이 미국인들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미국 크래딧 교정

노스 캐롤라이나의 한 주민이 전하는 경험담이다. 

식구 셋이서 전에 다니던 작은 멕시칸 식당에 갔다. 테이블 몇 개에 바에 의자 네 개가 있는 작은 식당이었다. 동네 단골이 많았는데 손님이 한 테이블도 없었다. ‘왜 이렇게 한가하지?’ 생각했으나 한가한 건 아니었다. 카운터에는 누런 봉지가 10개쯤 줄지어 놓여 있었다. 모두 주문 음식이었다.  

식사하는 동안 고객들이 들락거렸으나 테이블에 앉는 사람은 없었다. 카운터에서 백을 집어 들고 계산한 후 나가 버렸다. 종업원과 주고받는 대화도 없었다. 한 때 ‘만남의 장’이던 곳이 ‘침묵의 장’이 되어 있었다.  ‘테이블(Table)에서 테이크 아웃(Takeout)’으로 바뀐 것이다. 전미 요식업 협회에 따르면 식당의 이런 변화는 전반적인 현상이다. 코로나 팬데믹 전에는 테이크 아웃이 주문의 61% 였으나 지금은 74%로 늘었다. 집에서 먹겠다는 것이다.

식당만 그런 것이 아니다. 대형 집 수리용품점을 오랜만에 가면 변화를 확연하게 느낄 수 있다. 일반 고객의 숫자가 확 줄었다. 전에는 주말 같은 데 가면 재료를 사서 직접 집을 손보려는 DIY 손님들이 여기저기 기웃거렸다. 지금은 다르다. 특히 주중에 들르면 공사 중에 잠깐 온 듯한 작업복 차림의 컨트랙터들만 분주하게 오갈 뿐, DIY 고객은 잘 눈에 띄지 않는다. 진열된 제품도 견본만 있고 온라인으로 주문하라는 것도 많다. 

이러다 보니 뭘 물어도 친절하게 가르쳐 주던 ‘척척 박사’ 종업원도 전 같지 않다. 서비스의 질이 전과는 차이가 난다. 집에서 온라인으로 쇼핑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이렇게 됐구나 짐작할 따름이다.

미국인들이 점차 ‘집돌이(homebody)’가 돼 가고 있다. 무엇을 하든 집 밖으로 나가는 대신 집에서 하려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다. 결정적인 전환점은 물론 팬데믹이었다. ‘재택’이 방역 지침이었으니까. 하지만 팬데믹이 종료된 뒤에도 이런 추세는 계속되고 있다. 팬데믹 전부터 있던 트렌드였다고 한다. 코로나가 이런 현상을 가속시켰을 뿐 팬데믹만이 원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쯤에서 이런 현상을 숫자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UCLA 도시계획 & 공공 정책학 교수를 중심으로 한 연구팀에 따르면 미국인들이 집 밖에 있는 시간이 지난 20년 새 하루 1시간30분 정도 줄었다고 한다. 지난 2003년에는 하루 360분이 넘었으나 2023년에는 280분이 채 되지 않더라는 것이다. 원인은 집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늘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재택 근무. 일하러 나갈 필요가 없게 됐다. 온라인 쇼핑도 그렇다. 집에 앉아 디지털 엔터테인먼트도 즐길 수 있다. 커피 숍에 앉아 수다 떠는 대신 화상 통화를 하면 되고, 영화관 대신 스트리밍을 이용하면 된다. 장 보기도 온 라인으로 가능하다. 굳이 마켓까지 갈 필요가 없다. 식당 음식은 배달 앱이면 되고. 

물결 효과가 크다. 알려진 것처럼 오피스 빌딩과 상가의 수요는 급감했다. 다른 용도로 바꿔야 살아남을 수 있다. 출퇴근 시간에 몰리던 트래픽이 하루 종일 분산되는 효과도 있다. 교통난의 전 시간대 평준화라고 할까? 버스, 전철 등 대중 교통의 수요는 준 반면, 집과 아파트 등 주거 공간은 더 넓은 곳을 원하고 있다.

역사는 이번 세기를 ‘고립의 세기’라고 규정할 지 모른다. ‘집돌이’ ‘집순이’ 현상은 필연적으로 고립과 소외를 부른다. 정신은 물론 육체적인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 집 밖에서 보낼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과 방법의 개발이 긴요한 이유다. 은퇴한 시니어들에게는 더욱 그렇다.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시와 수필] 분 꽃

박경자 (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푸른 솔 더불어 그향기 더욱 은은해/무지개 빛 꽃무늬/사랑에 탄다./밤마다 별들이 빛을 모아/꽃잎을 새기고/그 맑은 웃음 소리/그 영혼의 빛깔

[수필] 상처가 만나 결을 이루면
[수필] 상처가 만나 결을 이루면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뒷마당 잡목들을 정리하다가 유난히 둥치 굵은 나무를 발견했다. 소나무와 도토리나무의 연리지였다. 신기했다. 연리작용은 보통 같은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 실수하기 쉬운 메디케어 가입 실수 5가지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 실수하기 쉬운 메디케어 가입 실수 5가지

최선호 보험전문인 메디케어는 은퇴자에게 매우 중요한 보험 제도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가입 시 실수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실수는 단순히 행정적인 착오를 넘

[내 마음의 시] 햄버거와 핫도그
[내 마음의 시] 햄버거와 핫도그

이미리(애틀란타 문학회 회원) 독립기념일이라고 아들 둘이서 분주하다핫도그 햄버거 패디 굽고 온갖 야채 겹겹이 쌓아 접시에 담는다  옆에 감자칩과 피클도 살포시 놓았다 이런 날 축하

[애틀랜타 칼럼] 나쁜 습관을 버려야 한다

이용희목사 만일 당신이 부지런 하다고 생각되면 스스로 게으른 면이 있는가를 다시 한번 되돌아보아야 합니다.  만일 당신이 게으르다고 생각되면 그 문제점을 해결해야만 앞으로 나아갈

[법률칼럼] 3D 업종 불체자 워크퍼밋,대통령의 이중 메시지

케빈 김 법무사 2025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으로 복귀한 뒤, 미국의 이민 정책은 다시 급격히 보수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플로리다 연설에서 언급

[행복한 아침] 세월 속의 아버지

김 정자(시인 수필가)     무더위가 시작되는 7월이 들어서면 아버지 생신을 맞게 된다. 아버지와 영원한 이별을 나눈 지 어언 예순 두 해를 넘겨오면서 해 마다 이방에서 홀로 아

[내 마음의 시] 내 심장의 고동소리!
[내 마음의 시] 내 심장의 고동소리!

효천 윤정오(애틀랜타문학회 회원) 바람 가르는 KTX 차창 밖풍요를 알리는 황금 물결 곱게 물들어가는 산야 나란히 가는 경부 고속도로조용히, 서서히심장의 고동소리 들려온다.부강한

[신앙칼럼] 찢겨진 하늘, 하나님의 거룩한 모략(The Torn Heaven, God’s Holy Plan, 막Mk. 1:10)

방유창 목사 혜존(몽고메리 사랑 한인교회) 하나님의 사랑을 받으신 하나님의 독생자 예수님의 공생애의 시작은 저자 마가에 의하면 <찢겨진 하늘, 하나님의 거룩한 모략>으로

[시와 수필] ''홈 하스 피스 '' 란 무엇인가(MEDICARE HOSPICE BENEFIT)

박경자 (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천하에 범사가 기한이 있고 모든 목적이 이룰 때가 있나니,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심을 때가 있고 심은 것을 뽑을 때가 있으며울때가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