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자(숙명여대 미주총회장)
윤동주 시인의 조국 사랑 그의 혼이 지금도 살아 우리의 가슴에 '하늘과 바람과 , 별이 되어 지금은 남의 땅 북간도 용정에 묻혀 멀리서도 조국을 그리워하며 그의 혼은 우주의 어느 별에서 내 조국을 사랑하는 시인이 거기 잠들고 있었다.
한줌의 흙이 되어도
내사랑 -
내조국 -
또하나의 내 목숨이더니
죽어도 --
죽어도 --
다시사는 영혼의 화신
목숨 또한 사랑이더라
내 조국 젖줄 물꼬
나 다시 태어나도
조국을 위해 내 목숨 드리리니 --
시인은 죽어도 영원을 산다.
조국의 바람과, 별, 하늘이 되리니---
'어제는 조국을 위하여 한 시인이 눈물을 흘렸으므로
이제는 한 시인을 위하여
조국의 마른 잎새들이 울어야 할 때이다
어제는 조국을 위하여
한 시인이 목숨을 버렸으므로
이제는 한 시인을 위하여
조국의 한 젊은 시인을 위하여
조국의 하늘과 바람과 별들이
목숨을 버려야 할 때이다
죽어서 사는 길을 홀로 걸어 간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사나이
무덤조차 한점 부끄럼 없는
죽어가는 모든 것을 사랑했던 사나이
오늘은 북간도에 찬 바람결에 서걱이다가
잠시 마른 풀잎으로 누었다 일어나니
저 푸른 겨울하늘 아래
한송이 무덤으로 피어 난 아름다움 위하여
한 줄기 해란강은 말없이 흐른다. [시인 정호승]
1988년 어느 봄, 윤동주 시인의 묘 사진이 어느 잡지에 소개되었다. 누렇게 시든 황량한 만주벌판, 북간도의 파아란 겨울 하늘이 쓸쓸한 겨울날 누군가 그 무덤을 쓰다듬고 있는 한장의 사진이었다. 그 무덤 옆에는 ‘시인 윤동주지묘’란 글에 가슴이 뛰었다. 묘지 하단에는 ‘용정중학교에서 세운 묘비’란 글이 쓰여 있었다. 그 시인 윤동주 묘비 사진을 ‘사랑의 전화’ 운동을 펼친 심철호 선생님이 국내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어느 해 ‘시인 윤동주’ 영화가 애틀랜타에서 상영 되던 날, 내가 좋아하는 선배님이 “오늘 시인 윤동주 영화 보러 갈래”하셨다. 우린 소녀처럼 설레는 마음으로 시인 윤동주를 만났다.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이 살기를 /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내가 가장 사랑하는 그 시가 되는 순간 눈물이 가슴에 고였다. 한 청년의 가슴에 일제의 탄압에 주먹을 불끈 쥔 시인 윤동주, 옥중에서 죽어가는 순간까지 그 가슴에는 ‘내 사랑, 내 조국’이 전부였다. 그 고통, 그 외로움, 윤동주 영화를 보면서 한없이 울었다. “나의 무덤 위에는 파아란 잔디를 심어달라” 그의 유언처럼 그의 묘소에는 잔디만 푸르러 푸르러 -- 만주 벌판 외로운 그의 묘소 앞에는 지금도 외로운 조국의 사나이는 “내 조국아 넌 지금 어디에” 가슴 시린 한마디를 하고 있는 듯하다. 시 한수를 읽지도 않는 세상, 돈이 세상을 움직이는 이세상에 요즘도 누가 시를 읽나요? 시를 버린건 시인인지도 모른다. 왜 그리 시인도 알아들을 수 없는 문자로 시가 그 순수성을 잃었는지, 미국에는 대통령 취임식 날, 그날에 취임식 날 가장 소중한 사람은 시인이었다. 오바마 대통령 취임에 쓴 시, 이름 모를 흑인의 시 한수는 가장 잊을 수 없는 ‘신의 한수’였다.
윤동주 시인, 우리 민족의 선구자요, 민족 시인 그를 그 조국 사랑을 누가 기억하고 있을까. 그 누구도 어디에 그가 묻힌 외로운 묘지를 찾아가 갈잎새가 흩어지는 바람이 흔들고 간 외로운 묘지 옆에서 정호승 시인이 한없이 눈물을 흘리면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기를’ 그의 묘에 분봉에 잔디를 어루만지며 나도 윤동주 시인같은 시인이 되어야지. 발길이 차마 떨어지지 않았다, 그토록 사랑하던 조국을 떠나 지금은 남의 땅, 북간도 용정에 묻혀있는 시인 윤동주, 그의 한의 가슴을 우리 조국의 어느 누가 가슴으로 아파하겠는가. 조국을 품에 안고 스물 아홉에 무덤 속에서도 살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