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리스크’- 요즘 부쩍 그 사용빈도가 높아진 시사용어다.
증국의 알리바마 창업자 마윈이 어느 날 증발됐다. 베이징의 고위당국자들 앞에서 겁 없이 당국의 규제행태를 공개 비판한 뒤 유폐된 것이다.
이후 알리바마는 천문학적 과징금 폭탄을 맞았다. 뒤이어 사상최대 규모의 기업공개(IPO)를 하려던 알리바마 금융계열사 앤트의 상장은 물거품이 됐다.
‘중국판 우버’ 디디추싱은 베이징의 경고를 무시하고 뉴욕증시에 상장했다. 그러자 바로 보복조치가 내려졌다. 중국 내 모든 앱스토어에서 퇴출당한 것.
베이징은 그동안 중국기업의 글로벌진출을 장려해왔다. 그런데 돌연 해외 상장을 금지시켰다. 그런데다가 과징금에 영업정지까지 시켰다. 그럼으로써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손실을 안겼다.
명색이 시장경제를 추구하는 나라에서는 상상조차 하기 힘든 일을 아주 태연히 저지른 것이다. 압권은 예체능 이외의 모든 사교육을 하룻밤 만에 전면 금지시킨 조치다.
모든 중국의 교육관련 기업 주가가 폭락했다. 그로 끝난 게 아니다. 뉴욕증시나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가가 모두 급락한 것이다. 중국 공산당의 무지막지한 기업규제에서 안전한 기업은 없다. 그런 공포가 시장전체를 엄습한 결과다.
중국당국은 뒤늦게 ‘개혁개방의 큰 흐름은 바뀌지 않았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국제 금융시장은 믿지 않는 분위기다. 자본의 대대적 중국탈출이 이루어지고 있고 기업의 탈출도 뒤따르고 있다.
뭐랄까. ‘홍색 규제’, 다시 말해 차이나 리스크가 글로벌 경제의 상수가 되고 있다고 할까.
도쿄올림픽 남자 체조 개인종합 경기 결승에서 일본선수가 근소한 차이로 중국선수를 누르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그러자 웨이보를 중심으로 중국네티즌들의 비난이 홍수를 이루었다.
노골적인 욕설은 물론이고 “너를 죽일 것”이라는 협박 메시지도 마구 쏟아졌다. 이 경기뿐이 아니다. 중국선수가 메달을 놓쳤다고 하면 봇물같이 넘쳐흐르는 것이 샤오펀홍(小粉紅)이 중심이 된 중국 네티즌들의 상대 선수에 대한 비난 메시지다.
샤오펀홍이란 온라인상에서 중국의 극단적 민족주의를 주도하고 있는 세력으로, 애국심으로 무장한 중국의 젊은 층을 이르는 말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잣대로만 애국을 정의한다. 그 방식으로만 애국을 실천해야 애국자인 것이다. 그들은 자신을 가장 정의로운 위치에 놓고, 자신들의 방식에 동의하지 않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매국노라는 딱지를 서슴없이 붙인다.
샤오펀홍의 핵심 사상은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국가이고 중화민족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민족이라는 것이다. 비이성적인 자만감에 들뜬 극단적 민족주의가 그들의 특징이다.
과거 문혁시절 전 중국을 광기로 몰아넣었던 홍위병을 그대로 빼 닮았다고 할까. 그런 샤오편홍의 행태를 외교부 대변인 등 중국공산당 당국자들은 ‘소박한 애국주의’라고 포장한다. 그러면서 말도 안 되는 댓글 짓을 ‘표현의 자유’라고 옹호한다.
뭐 다름에서가 아니다. 중국공산당 유일체제, 더 나가 시진핑 1인 체제 옹위에 이들 붉게 세뇌된 젊은 세대는 첨병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대기업에 마구 가해지는 ‘홍색 규제’도 마찬가지다. 시진핑 영구집권을 공고히 하기 위한 것으로 못 가진 자, 그러니까 10억이 넘는 서민층의 불만을 달래고 다른 한편 자신의 지지층 결집을 위한 고도의 정치적 술수라는 것이 관측통들의 분석이다.
차이나 리스크. 글로벌 경제뿐만 아니다. 글로벌 안보에도 먹구름을 몰고 오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