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콜롬비아 학원
김성희 부동산
첫광고

[뉴스칼럼] 선진 대한민국

지역뉴스 | 외부 칼럼 | 2021-07-06 10:10:16

뉴스칼럼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미국 크래딧 교정

‘대한민국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나라다’-. 1980년대였던가. 리영희의 저서 ‘해방전후사의 인식‘이 한 때 운동권을 사로잡았던 것은.

 

이후 회귀성 열병마냥 한국정치의 주요 고비 때마다 좌파들에 의해 제기되어온 것이 바로 이 주제다.

 

대한민국은 미 점령군과 친일파가 야합해 세운 나라다. 역대 대통령을 봐도 존경할만한 대통령은 없다. 이승만은 독재를 하다가 쫓겨나 망명지에서 숨을 거두었다. 박정희는 암살됐고, 전두환, 노태우는 감옥에 갔고….

 

그러니 대한민국은 태어나지 날았어야 할 나라라는 것이다. 한마디로 대한민국은 정통성이 없다는 것으로 한민족 역사의 정통은 북한이 이어가고 있다는 주장을 그 밑자락에 깔고 있다.

 

철이 지난 주장이다. 기껏해야 변방의 이론이다. 그런데 한국의 서점마다 대한민국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나라라는 책들이 널려 있다고 한다. 그리고 대선시즌을 맞아 일부 정치인들에 의해 이 주장은 또 다시 점화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정녕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나라인가. 세계인의 시각은 전혀 정반대다. 대한민국은 한 마디로 기적의 나라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반세기 남짓 짧은 기간에 산업화에 민주화, 그리고 자체 브랜드의 문화 대국이란 3관왕을 획득한 나라로 보고 있다.

 

그 대한민국에 대해 헌정사를 보냈다고 할까. 그것은 유엔무역회의(UNCTAD)의 지난 주말의 표결이다. UNCTAD는 68차 무역개발이사회에서 195개국 회원국 만장일치로 한국의 지위를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변경한 것이다.

 

이번 결정으로 그룹 A(아시아, 아프리카)에 속했던 한국은 그룹 B로 옮겨졌다. 그룹 B에는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주요선진국들이 들어 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유일하다. UNCTAD 설립 57년 역사상 개도국에서 선진국에 편입된 것은 대한민국이 처음이다.

 

1950년 6.25 직후 대한민국은 1인당 국민소득 76달러로 세계 최빈국이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2,860달러로 주요 7개국(G7) 멤버인 이탈리아(3만2,200달러)를 제쳤다.

 

사실 대한민국을 국제사회가 선진국으로 인정한지는 오래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991년 한국을 선진국으로 지정했고 세계은행도 96년 같은 조치를 했다. 그리고 2010년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선진국그룹으로 불리는 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했다.

 

그런데다가 K 컬처로 대별되는 한류의 세계적 확산과 함께 한국은 브랜드국가로 인식되어왔다. 한국이 G7 정상회의에 연속해 초대받은 것도 이 같이 높아진 ‘대한민국의 위상’에 힘입은 것이다.

 

단순히 소득만 높아졌다고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오일 머니로 부유해진 중동 산유국들을 선진국으로 분류하지 않는데서 보듯이.

 

선진국 분류에는 국민 소득도 소득이지만 산업인구 구조비율, 교육, 문화수준, 무역수지, 기대수명지수, 언론자유지수 등을 모두 종합적으로 판단해 내려진다. 이런 면에서 유엔이 선진국 편입을 공식화한 것은 대한민국 현대사에 큰 획을 그은 기념비적인 일이다.

 

같은 타이밍에 한국에서 또 다시 촉발된 것은 역사 논쟁이다. 광복회장이란 사람이 미군은 점령군, 소련은 해방군이라고 주장하고 나선데 이어 더불어민주당의 유력 대선 주자인 이재명 경기 지사는 대한민국은 미 점령군과 친일파들이 합작해 세운 나라라는 주장을 한 것이다.

 

대한민국 건국의 정통성을 부정하면서 은연중 반미, 반일감정을 부추기고 나선 것.

 

그 주장이 과연 먹힐까. 낡아빠진 레코드판에서 나오는 흘러간 노래 같은 그 소리에.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애틀랜타 칼럼] 남을 즐겁게 하는 사람들

이용희 목사 누군가를 만나 유괘한 시간을 가지면 헤어지기 섭섭한 기분이 들곤 합니다. 그것은 분명 접시가 깨지는 수다와는 다릅니다. 사람을 이끄는 유쾌함인 것입니다. 그런 사람은

[내 마음의 시] 청바지 사랑 2
[내 마음의 시] 청바지 사랑 2

박달 강 희종 시인 (애틀란타문학회 총무)       집을 나서는 애들엄마여보 차 빼줘교회 집사  부부 맞나요 정로정에서 쉼을 얻고직장에서 땀을 흘리는 여보 나는 작업복을  파랑색

[벌레박사 칼럼] 대형 슈퍼마켓 방역 소독
[벌레박사 칼럼] 대형 슈퍼마켓 방역 소독

벌레박사 썬박 미국에 이민을 와 보니, 초기 이민을 오셔서 사업에 성공하신 분들은 대부분 대형 슈퍼마켓을 하신 분들이었다. 깜깜한 새벽부터 늦은 저녁까지 부지런히 수백 가지 물건들

[법률칼럼] “트럼프 감세법, 돌아오는가? 다시 움직이는 미국의 조세 시계”

케빈 김 법무사 1. 트럼프의 감세 공약과 TCJA 연장 논란2025년 7월, 트럼프는 제45대 및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 임기를 수행 중이다. 그의 2017년 TCJ

[보석줍기] 침묵의 얼굴

홍 효 순(BALSER TOWER 보석줍기 회원) 침묵은 출렁이는 감정을 누르고 세상을 바라보면단순하고 아름답게 보인다. 표정을  읽을 수 없는선악의 표정은 상대가 아닌 자신이기

[행복한 아침] 소야곡

김 정자(시인 수필가)      하루를 다한 늦은 시간이면 세상은 적막으로 고요해 진다. 만상이 안식에 젖어 들고 먼 기적 소리가 간간이 들리는 시간이면 하룻길 여정에서 남겨두고

[모세최의 마음의 풍경] 봄의 숨결 그윽한 날에
[모세최의 마음의 풍경] 봄의 숨결 그윽한 날에

최 모세( 고전 음악·인문학 교실) “남대문” 푸드코트에서 점심 식사를 마치고 도로를 가로질러 건너편 사무실 빌딩 앞에 이르렀다. 길섶에 라일락 나무의 꽃이 활짝 피어 한창 짙은

[신앙칼럼] 이 또한 지나가리라(This Too Shall Pass Away, 전도서Ecclesiastes 3:1-8)

방유창 목사 혜존(몽고메리 사랑 한인교회)<다윗 왕의 황금반지>는 미드라쉬 성경(Midrash Bible)에 “이 또한 지나가리라(This Too Shall Pass A

[시와 수필] 울지 마라, 산다는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박경자 (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눈이 오면 눈길을 걸어가고비가 오면 빗

[수필] 누가 효자를 만드는가
[수필] 누가 효자를 만드는가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눈이 마주친 난이 할머니가 자기 방으로 오라는 손짓을 했다. 내가 외출하고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 같다. 밤 잠을 설치셨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