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폐기 안 하면 재정 불이익”
학생·교수 “너무 쉽게 굴복”반발
트럼프 행정부의 DEI(Diversity, Equality, Inclusion) 정책 폐기 선언으로 전국의 대학들이 고민하고 있는 가운데 조지아텍이 해당 정책 폐기를 시사하고 나섰다. 학생들과 교수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조지아텍 엔젤 카브레라 총장은 지난달 28일 학생과 교수,교직원에게 보낸 이메일 통해 “현재의 학생지원 프로그램이 연방정부의 최근 지침을 위반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를 없애기 위한 검토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카브레라 총장은 “검토 과정에서 학생지원 및 서비스 제공 방식에 일부 변화가 생겼다”면서 “새로운 학생 지원 부서를 설립해 기존 기능을 통합하는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카브레라 총장의 이번 조치와 발언은 사실상 DEI 프로그램를 폐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보다 하루 앞선 지난달 27일 열린 타운홀 미팅에서 학교 측은 여성자원센터와 LGBT 자원센터, 흑인문화. 혁신.기술팀 폐지 가능성을 밝혔다.
당시 950석 규모의 타운홀 미팅 좌석을 가득 메운 학생과 교수들은 “학교 측이 너무 쉽게 연방정부의 요구에 굴복했다”며 당혹감과 실망감을 표출했다.
한 교수는 “DEI 프로그램 폐지 혹은 축소는 우리가 수십년간 이뤄온 발전을 무너뜨릴 것”이라며 반발했다.
반발이 거세지자 이 학교 학생참여 부분 루오루오 홍 부총장은 “명칭 변경을 통해 학생 지원 서비스를 이어 갈 것”이라면서도 “법이 프로그램 폐지와 구조조정을 요구하면 학교 측은 이를 따를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연방정부 지침을 따르지 않을 경우 펠그랜트와 근로장학금 등 학생지원 프로그램은 물론 연구보조금 같은 교수 및 대학원생 지원에도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 학교측 입장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 날 DEI 정책을 종료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이어 연방 교육부는 지난 달 14일 전국 공립학교 및 대학에 DEI 프로그램을 2 주안에 폐기할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발송했다.
조지아텍의 이번 발표는 교육부가 제시한 2주 시한 마감일에 맞춰 이뤄졌다.
한편 지난달 21일 메릴랜드 연방지방법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DEI 금지 행정명령에 대한 볼티모어시 소송 결과가 나올 때까지 행정명령 중단 결정을 내렸다.<이필립 기자>

잘 했네요.전 정권에선 너무 강하게 밀어부쳤어요. 제가 늘 운동삼아 다니던 교정에 촌스럽게 건물계단을 무지개색으로 칠해서 얼마나 속상해는지요. 교정의 단아함이 사라지고 얼마나 저렴해보였는지요. 학교가 정치집단의 선전선동의 장이 되는 것엔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