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드위치 세대’라는 말이 유행한 지는 꽤 오래 되었다. 베이비붐 세대가 대거 40대로 접어들던 90년대 후반부터 샌드위치 세대라는 용어는 일상적으로 쓰였다.
샌드위치는 누가 언제 고안해냈는지가 분명하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1762년 영국의 귀족인 존 몬타구 제 4대 샌드위치 백작이 만든 음식이다. 도박을 좋아한 그는 카드놀이를 하다가 중간에 식사하러 가는 게 번거로웠다. 그래서 게임을 하면서 손으로 들고 먹을 수 있도록 로스트비프를 빵 사이에 끼워 넣어달라고 하인에게 주문했다. 그후 너도 나도 ‘샌드위치랑 같은 거~’를 주문하면서 ‘샌드위치’는 하나의 메뉴로 뿌리내렸다.
‘샌드위치 세대’란 자녀양육과 부모 돌봄이라는 두개의 역할 사이에 끼어있는 세대. 부부가 풀타임으로 일하며 자녀를 키우고 뒷바라지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부부가 협력해야 겨우겨우 해낼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 더해 연로한 부모가 돌봄이 필요해지면 어려움은 차원이 달라진다. 자녀와 부모를 돌보는 막중한 의무의 벽들 사이에 끼어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르면 30대, 대부분은 40대 50대에 샌드위치가 되어 살아간다.
그런데 요즘은 상황이 더 복잡해졌다. 한 차원 더 어려운 상황이 보편화하고 있다. 기대수명이 길어지면서 노부모의 연령이 점점 높아지고 그 윗세대인 조부모도 나란히 생존하면서 가족 돌봄의 상황이 겹겹으로 겹쳐지고 있다. 식빵 세 쪽 사이사이에 햄 로스트비프 치킨 등이 층층이 쌓인 두터운 샌드위치, 바로 클럽 샌드위치의 모양새이다.
‘클럽 샌드위치’ 세대로 흔히 꼽히는 것은 6070 연령층이다. 과거의 4050 세대라 할 만큼 젊고 건강한 데다 대개 은퇴해서 시간적 여유와 재정적 안정을 모두 갖춘 안락한 시기이다. 평생 열심히 일했으니 ‘이제는 즐겨보자’ 마음먹는 데 그게 꼭 그렇게 만은 되지 않는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손주, 봉급은 그대로인데 아파트 렌트비부터 각종 물가가 치솟아 절절매는 아들/딸, 하루가 멀다 하고 병원에 가야하는 구순의 노부모, 형편 어려운 형제자매 … . 예뻐서, 짠해서, 가슴 아파서, 모른 척 할 수 없어서 … 돌보고 보살피고 돕다보면 여러 역할들에 끼여서 심신이 파김치가 되기 일쑤이다. 바로 클럽 샌드위치 처지이다.
그리고 이는 특정 연령층에 국한되지 않는다. 30대 40대 ‘클럽 샌드위치’도 적지 않다. 맞벌이 하면서 어린 자녀 키우랴 재정적으로 어려운 부모 지원하랴 노환으로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는 조부모 챙기랴 몸이 열 개라도 모자라는 이들이 많다.
‘클럽 샌드위치’ 현상이 보편화하는 근본적 원인은 인구변화. 기대수명이 길어지면서 노년 인구는 늘고, 저출산으로 젊은 세대는 줄어들면서 가족들의 어깨가 점점 무거워지고 있다.
독일의 한 인구학 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혈족 관계망 연구보고서를 보면 형제자매 친척들이 풍성하던 시대는 지났다. 집집마다 자녀가 하나 아니면 둘이니 사촌 육촌 고모 이모 삼촌 외삼촌 당숙 등은 이제 그 단어조차 사라질 지경이다. 살아가면서 힘들 때 서로 기대고 의지할 버팀목, 혈족의 네트워크들이 사라지는 것이다.
반면 점점 많아지는 것은 증조부모.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아기가 태어나면 양가 조부모는 물론 증조부모를 만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노인들은 증손을 볼 수 있으니 좋고 젊은 세대는 조부모에 더해 증조부모의 사랑까지 받을 수 있으니 좋다. 하지만 수평은 없고 수직으로만 이어지는 층층의 가족구도는 결국 ‘클럽 샌드위치’로 이어지기 마련. 한인사회도 예외는 아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여기저기 ‘클럽 샌드위치’다. 손주 보느라 힘들어 몸은 수척해지고, 자리 못 잡는 자녀 지원하느라 은퇴자금은 술술 새는 노년층이 적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