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K-드라마, K-푸드…. 또 뭐가 있더라. K-클래식. K-방산.
이른바 한류시대다. 팝뮤직에서 드라마, 영화 등 대중문화는 말할 것도 없다. 클래식 뮤직에서 하이텍에 이르기까지 한국은 전 세계를 주도하다시피 하고 있다.
그러니까 ‘한국(Korea)’ 하면 자부심, 세계화의 대명사가 됐다가 할까. 그 ‘한국’이란 단어가 그러나 한 때는 경멸과 조소의 대상이었다.
행마가 둔탁하다. 두느니 졸수다. 대국운영이 매끄럽지 못하다. 그러면 ‘한국 바둑 두냐’는 핀잔이 따랐다. 70~80년대 일본 바둑계에서 곧잘 목격되던 해프닝이었다.
당시 한국에도 프로기사제도가 정립돼 있었다. 한국의 프로기사들의 실력은 그런데 일본에 비하면 말이 안됐었다.
한국은 최정예 기사들을 선발했다. 일본은 유망주들을 내보냈다. 그런 단체전에서 한국 팀은 0패를 당하는 게 보통이었다.
이런 정황에서 바둑사상 최초로 국제기전이 열렸다. 응창기배 세계바둑 선수권 대회다. 올림픽 경기처럼 4년마다 열리는 기전으로 당시로는 파격적인 40만 달러의 우승상금을 내걸었다.
그 때가 1988년으로 한국바둑은 변두리 취급을 받았었다. 중국과 일본의 정상급 기사들은 대거 초청됐다. 이에 반해 한국 기사는 단 한명만 출전이 허용됐다.
조훈현 9단이다. 명색이 국제대회니까 들러리로 받아들여졌다고 할 정도의 푸대접이었다.
그 조훈현 9단이 대파란을 일으킨다. 내로라하는 일본의 강호들을 연파했다. 그리고 결승에서 중국의 국민적 영웅 녜웨이핑 九단마저 꺾고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9회까지 이루어진 역대대회에서 한국은 6번 우승을 현재 기록하고 있다)
그래도 한국바둑을 바라보는 일본과 중국의 시선은 차가왔다. ‘운이 따라 어쩌다…’ 하는 시각이랄까.
2기, 3기, 4기. 응창기배 국제선수권 대회는 계속 열렸다. 우승트로피는 매번 한국기사가 차지했다. 서봉수, 유창혁, 이창호 차례로.
그뿐이 아니다. 조훈현과 더불어 사천왕으로 불리던 이들 한국기사들은 국가대항기전에, 일본기원 주관 국제대회 등을 휩쓸었다.
한국바둑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둔탁하다고 업신여기던 한국식 행마가 재조명되면서 한국기사의 대국기보 연구가 바둑의 메카로 자부하는 일본기원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고 보면 한류시대를 제일 먼저 연 것은 한국의 바둑계로 오늘날 K-바둑은 공포와 경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14억 인구 대국 중국은 국제기전에도 인해전술로 임한다. 그러나 준결승, 결승전에 이르면 한국기사를 만나기 일쑤이고 번번이 패배를 당한다. 일본의 타이틀 보유자 1인자들이 한국에 오면 랭킹 5위도 들기 어렵다. 그러니 공포와 경탄의 대상인 것이다.
그 한국 바둑을 배우겠다며 일본의 바둑의 천재 소녀 나카무라 스미레 3단이 한국에서 프로기사 활동을 요청했다.
스미레 3단은 3살 때 처음 바둑을 배운 뒤 여섯 살이던 2015년 한국으로 건너와 4년 가까이 바둑 공부를 했다. 그리고 어린이 바둑대회 등에서 두각을 드러내자 일본기원은 2019년 4월 영재 특별전형으로 입단시켰다.
만 10세에 입단해 일본기원 역사상 최연소 프로기사가 된 스미레는 올 2월 일본의 여자기성전에서 우승하며 역대 최연소 타이틀 기록까지 수립했다.
정말이지, 격세지감도 이런 격세지감이 없다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