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엘리트 학원
첫광고
이규 레스토랑

[기고문] 황금비

지역뉴스 | 외부 칼럼 | 2021-10-21 10:18:35

종우(宗愚) 이한기(군사평론가·애틀랜타 문학회 회원),기고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미국 크래딧 교정

종우(宗愚) 이한기(군사평론가·애틀랜타 문학회 회원)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황금연휴, 황금시대, 황금률, 황금빛, 황금박쥐, 황금수란 말을 들어본다. 황금은 우아한 광채, 희소성, 불변성 등 여러가지 특성을 갖고 있어 사람들이 갖고 싶어하는 욕망이 일어난다. 또다른 황금이란 이름을 갖고 있는 황금비(黃金比: Golden Ratio)에 대해 살펴본다. 은행 대출과 예금 이율, 연체율, 크고 작음의 비교, 많고 적음의 비교 등을 나타낼 때 비(比)를 사용한다. 무한하게 존재하는 비들 중 세상에서 가장 조화롭고 아름다운 비, 수학적으로 가장 아름답다고 느껴지는 비를 황금비라 한다. 어떤수(x+y)를 큰수(x), 작은수(y)로 분할할 때 큰수:작은수=(큰수+작은수):큰수 라는 식을 만족하면 황금분할 되었다하며 큰수와 작은수의 비를 황금비라 정의하고 있다. 즉 x:y=(x+y):x 이 비례식을 풀면 x:y는 약(約) 1.618:1이된다. 정확한 황금비는 2:(√5-1)이다. 기하학에서는 작도하여 정확한 황금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우리들로 하여금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유명 예술품, 조각상, 건축물, A4용지, 신용카드, 명함, WIDE TV, 컴퓨터모니터, 우리인간의 DNA에서도 황금비에 가까운 비율을 갖고 있다. 이탈리아 수학자 피보나치의 수열(數列)은 제1항(項)이 1, 제2항도1, 제3항부터는 앞에 두항의 합과 같은 수열이다. 즉 1.1.2.3.4.8.13.21.34.55.89.144, …………. 제6항부터는 어떤항의 수를 바로 앞의 항의 수로 나누면 황금비에 가까운 값이 나오는 것도 흥미롭다. 아무리 셈하여도 공평하다고 할 수 없는 황금비 1:1 아닌 1.618:1. 그럼에도 황금이라 이름하다니… 모든 것이 공평한 세상이 있을까? 삶의 터전이자 스승인 대자연과 삶의 주변에서 주의깊게 살펴보아도 공평한 것을 찾아보기 힘들다. 불공평한 것끼리 아우러져 멋진 멋진 조화로움과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스승인 대자연의 가르침, 즉 불공평도 조화롭고 아름다울 수 있다는 것을 받아 들일 수 밖에… 공평하지 않다는 불평불만 해 보았자 생활에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불공평 속에서도 꼭 필요한 것은 공평을 추구하는 마음을 갖는다면 우리의 삶은 더 여유롭지 않을까?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신앙칼럼] 가장 큰 행복(The Greatest Happiness, 창세기Genesis 18:19)

방유창 목사 혜존(몽고메리 사랑 한인교회) 프랑스의 대 문호 빅토르 위고(Victor Hugo)는 “가장 큰 행복은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하고 자신이 누군가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믿

[파리드 자카리아 칼럼] 미국이 전달하는 러시아의 선전 전략
[파리드 자카리아 칼럼] 미국이 전달하는 러시아의 선전 전략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특사이자 사실상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 프로세스의 중재자인 스티브 위트코프는 최근 인터뷰에서 러시아 정부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 요점의 상당부분을 마치

[뉴스칼럼] ‘왕’이 되고픈 나르시시스트

미국은 영국과의 독립전쟁에서 뛰어난 통솔력과 지도력을 발휘해 전쟁을 승리로 이끈 총사령관 조지 워싱턴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사실 전쟁 중 그의 휘하 장교들은 워싱턴을 미국의

[목요 에세이] 그대, 뒷모습은 안녕하신가요
[목요 에세이] 그대, 뒷모습은 안녕하신가요

뒷모습에 관심이 간다. 얼굴보다 등에 매력을 느낀다. 불혹의 나이를 훌쩍 넘기면서부터다. ‘멀리하기엔 너무 가까운 당신’ 같지만 정작 스스로는 가 닿을 수 없는 나의 뒤, 나의 반

[삶과 생각] Thank you Mission Agape
[삶과 생각] Thank you Mission Agape

지천(支泉) 권명오(수필가 / 칼럼니스트)  할 일이 있어 아침 일찍 일어났다. Mission Agape에서 매주 토요일 Sandwich을 만드는 일인데 나는 한 달에 한 두 번

[시와 수필] 자연의 생명의 소리

박경자(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빛의 비가 내리네보이지 않는 비보이지 않는 곳에서질문과  대답이 이루어지고말하는이도 듣는이도  없네.여기 환희의 비가 내리네하늘 한복판에서  

[수필] 집으로 가는 길
[수필] 집으로 가는 길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교육장에 들어서고 나서야 콧등 위에 안경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필이면 이 중요한 날에 안경을 차에다 두고 오다니. 몸은 이

[데스크의 창] 정의에도 ‘중립’이 있을까
[데스크의 창] 정의에도 ‘중립’이 있을까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는 하버드 대학교 교수이자 정치철학자인 마이클 샌델이 1980년부터 진행한 수업 내용을 토

[뉴스의 현장] 먹고 사는 문제, 관세로 뒤흔들리다
[뉴스의 현장] 먹고 사는 문제, 관세로 뒤흔들리다

성장기 아이를 키우고 있는 기자는 요즘 장을 보러 갈 때마다 심난하다. 외식비가 치솟아 끼니의 대부분을 직접 해 먹고 있는 탓에, 장 보는 일은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일이자,

[화요 칼럼] 행복의 조건
[화요 칼럼] 행복의 조건

『행복의 조건』 의 저자 조지 베일런트(George Eman Vaillant)는 미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연구자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했고 성인 발달 연구소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