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자살·비만이 주범
2014년 정점 찍은 후
2017년 78.6세로 낮아져
미국인의 기대수명이 다른 고소득 국가와 달리 오히려 줄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약물 과다복용, 자살, 알코올 관련 질병, 비만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버지니아 커먼웰스대 사회건강센터의 스티븐 울프 교수 연구팀은 26일 미 의사협회 저널(JAMA)에 실린 ‘미국인의 기대수명과 사망률’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CNN이 보도했다.
기대수명이란 갓 태어난 아이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연수를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인의 기대수명은 1959년 69.9세에서 2014년 78.9세로 꾸준히 증가했다. 45년 만에 기대수명이 10살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기대수명은 2014년 정점을 찍은 뒤 3년 연속 감소해 2017년 78.6세로 집계됐다.
기대수명 감소에는 약물 과다복용, 자살, 비만 등의 특정 원인에 의한 25∼64세 성인 사망률이 1990년대 말부터 급격히 증가한 것이 영향을 줬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약물 과다복용으로 인한 이 연령대 성인 사망률은 1999~2017년 사이 386.5%나 증가했으며, 비만으로 인한 사망률 역시 114% 올라갔다. 간 질환과 간경변증 등 알코올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도 40.6% 증가했다. 자살률은38.3% 높아졌다.
연구진은 미국의 기대수명 감소 추세가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CDC에 따르면 미국 성인들의 71%가량이 비만으로 분류되는 등 기대수명을 낮추는 핵심 동인들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다른 고소득 국가들의 기대수명이 그간 꾸준히 증가해온 반면, 미국은 1인당 의료 서비스에 지불하는 비용이 가장 높은데도 기대수명이 줄어들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하워드 고 하버드대 보건대학교 교수는 “기대수명 감소가 미래의 ’뉴노멀‘이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고 교수는 “소득 불평등과 정신적 고통 등 사회적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