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서 287(g) 부활 조짐
5개 카운티 신규가입 신청
바이든 행정부 시절 조지아에서는 퇴조 움직임을 보였던 287(g) 프로그램이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최근 연방이민세관단속국(ICE) 에 따르면 조지아의 먼로 카운티를 비롯해 몽고메리, 머레이. 스팰딩, 워커 카운티 셰리프국이 새롭게 287(g) 프로그램 가입 신청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카운티의 신청이 받아 드려지면 조지아의 287(g) 프로그램 가입 지역은 모두 11개로 늘어나게 된다.
현재는 조지아 주교정국과 플로이드 카운티를 비롯해 홀, 오코니. 포크, 위트필드 카운티 셰리프국이 287(g) 프로그램에 가입돼 있다.
287(g) 프로그램은 구치소 혹은 교도소 수감자의 이민신분을 조사해 불법체류자로 드러날 경우 신병을 ICE 에 인계하도록 하는 대표적인 이민단속 프로그램이다.
조지아에서는 귀넷과 캅 카운티가 그 동안 가장 강력하게 287(g)프로그램에 협조해 오며 불법체류자 추방 선도 역할을 했다. 하지만 지난 지방선거에서 두 카운티 모두 민주당 출신 셰리프가 당선되면서 287(g) 프로그램 탈퇴를 선언했다.
이번 5개 카운티의 287(g) 프로그램 가입 신청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불법체류 이민자 추방 정책과 맞물려 지난해 주의회를 통과한 HB1105 영향이 컸다.
HB1105는 조지아 모든 카운티 셰리프국이 연방이민법 집행에 협조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 법은 UGA에서 발생한 레이큰 라일리 살해사건이 계기가 됐다.
조지아 이민자 권인단체 중 하나인 라티노 커뮤니티 펀드의 기기 페드라자 대표는 “트럼프 행정부가 목표로 내건 대규모 불체자 추방을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지역 경찰과 셰리프국의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이라면서 287(g) 프로그램 확산 조짐에 우려를 나타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전국적으로 287(g)프로그램 신규가입 신청건수 27건 가운데 절반이상이 조지아와 플로리다에 몰려있다.<이필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