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콜롬비아 학원
김성희 부동산
첫광고

[특파원 칼럼] 역사를 기억하는 중국

지역뉴스 | 외부 칼럼 | 2024-06-26 17:37:51

특파원 칼럼,김광수,서울경제 베이징특파원,역사를 기억하는 중국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미국 크래딧 교정

미중 패권 경쟁이 점입가경이다. 미국이 서방을 비롯한 동맹 국가들과 협공해 중국을 무릎 꿇게 하려 애쓰고 있지만 중국은 아랑곳하지 않고 온몸으로 맞서고 있다. 외려 때릴수록 더 강하게 맞받아치는 형국이다.

기자는 중국에서 여러 분야의 전문가를 만날 기회가 많은데 그때마다 국적을 가리지 않고 미국과의 경쟁에서 중국이 승리할 수 있을지를 묻고는 한다. 최근 한 일본인의 답변은 흥미로웠다. 그는 “중국이 이길 것이라고 보장하기는 힘들지만 쉽게 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과거의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으려고 처절하게 반성하며 과거를 곱씹는 중국만의 특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 말을 듣자마자 맞장구를 쳤다. 적어도 기자가 만난 중국인들은 자신들의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얻은 교훈을 소중히 여긴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중국이 미국과의 패권 경쟁에 집착하는 것은 러시아·일본이 패권국 미국의 지위를 넘봤다가 처절하게 패배했던 역사를 목격했기 때문이다. 이번에 밀리면 영원히 세계 최강국으로 올라설 수 없음을 알기에 절대로 지지 않겠다는 각오로 맞서는 것이다.

이런 면모는 통화 정책에서도 나타난다. 중국은 ‘달러 패권’이 미국을 강국 반열에 올려놓고 지금까지 그 지위를 유지시켜왔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플라자합의를 통해 엔화 가치가 폭락하고 일본이 몰락한 것 역시 인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가 자리 잡을 경우에 대비해 10년 전부터 ‘디지털 위안화’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통화 패권’을 쥐기 위한 작업을 진행해왔다.

한 발 더 나아가 상당수 중국인들은 자신들이 청나라 시절 세계의 리더를 자부했던 만큼 현재 미국이 누리는 패권국 지위는 자신들이 넘겨준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중국에 가장 뼈아픈 역사를 꼽는다면 많은 중국인들이 한목소리로 아편전쟁을 지목한다.

중국 최초의 통일왕국으로 현재 신중국의 기틀을 마련하며 세계 최강국으로 발돋움하던 청나라는 아편전쟁을 계기로 몰락했다. 이후 150년이 훌쩍 지난 지금에 이르러서야 중국은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주요 2개국(G2) 반열에 올라섰다. 그동안 만났던 중국인 관료 상당수는 “아편전쟁만 없었다면 지금 세계는 미국이 아닌 중국이 호령하고 있을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드러낸다.

중국 관점에서 미중 패권 경쟁은 원래 자리를 되찾기 위한 수순일 뿐 미국에 도전하는 것이 아닌 셈이다. 이달 11일 중국 외교부 초청으로 쓰촨성 청두 선수핑기지로 향하던 길에 원촨션커우중학교 지진유적지에 들렀다. 2008년 5월12일 진도 8.0의 쓰촨성 대지진이 발생했던 곳이다. 당시 오후 첫 수업이 진행되던 교실 안 수많은 학생들과 교사들은 비극을 피하지 못했다. 중국은 무너졌던 건물과 기숙사들을 당시 모습 그대로 보전했다. 지진 피해의 아픔을 잊지 않기 위해 유적지로 만든 것이다. 

중국인에게 아픔은 단지 잊고 싶거나 그저 기억해야할 역사 속 한 페이지가 아니다. 과거의 아픔을 발판으로 현재를 살아가는 힘의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어쩌면 중국이 미국과의 패권 경쟁에서 쉽사리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김광수 서울경제 베이징특파원>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수필] 모르고 짓는 죄가 가장 큰 죄
[수필] 모르고 짓는 죄가 가장 큰 죄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사건의 발단은 주차였다. 매주 화요일 아침 모임이 있는 장소에 도착해보니 파킹장이 텅 비어 있었다. 몇 주 전에 다친 무릎의 통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 부모님 메디케어 플랜 점검 (자녀가 꼭 알아야 할 포인트)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 부모님 메디케어 플랜 점검 (자녀가 꼭 알아야 할 포인트)

최선호 보험전문인 많은 자녀들이 부모님의 노후를 걱정하면서도 정작 의료보험, 특히 메디케어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거나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메디케어는 노후 의료의 핵심이며,

[애틀랜타 칼럼] 남을 즐겁게 하는 사람들

이용희 목사 누군가를 만나 유괘한 시간을 가지면 헤어지기 섭섭한 기분이 들곤 합니다. 그것은 분명 접시가 깨지는 수다와는 다릅니다. 사람을 이끄는 유쾌함인 것입니다. 그런 사람은

[내 마음의 시] 청바지 사랑 2
[내 마음의 시] 청바지 사랑 2

박달 강 희종 시인 (애틀란타문학회 총무)       집을 나서는 애들엄마여보 차 빼줘교회 집사  부부 맞나요 정로정에서 쉼을 얻고직장에서 땀을 흘리는 여보 나는 작업복을  파랑색

[벌레박사 칼럼] 대형 슈퍼마켓 방역 소독
[벌레박사 칼럼] 대형 슈퍼마켓 방역 소독

벌레박사 썬박 미국에 이민을 와 보니, 초기 이민을 오셔서 사업에 성공하신 분들은 대부분 대형 슈퍼마켓을 하신 분들이었다. 깜깜한 새벽부터 늦은 저녁까지 부지런히 수백 가지 물건들

[법률칼럼] “트럼프 감세법, 돌아오는가? 다시 움직이는 미국의 조세 시계”

케빈 김 법무사 1. 트럼프의 감세 공약과 TCJA 연장 논란2025년 7월, 트럼프는 제45대 및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 임기를 수행 중이다. 그의 2017년 TCJ

[보석줍기] 침묵의 얼굴

홍 효 순(BALSER TOWER 보석줍기 회원) 침묵은 출렁이는 감정을 누르고 세상을 바라보면단순하고 아름답게 보인다. 표정을  읽을 수 없는선악의 표정은 상대가 아닌 자신이기

[행복한 아침] 소야곡

김 정자(시인 수필가)      하루를 다한 늦은 시간이면 세상은 적막으로 고요해 진다. 만상이 안식에 젖어 들고 먼 기적 소리가 간간이 들리는 시간이면 하룻길 여정에서 남겨두고

[모세최의 마음의 풍경] 봄의 숨결 그윽한 날에
[모세최의 마음의 풍경] 봄의 숨결 그윽한 날에

최 모세( 고전 음악·인문학 교실) “남대문” 푸드코트에서 점심 식사를 마치고 도로를 가로질러 건너편 사무실 빌딩 앞에 이르렀다. 길섶에 라일락 나무의 꽃이 활짝 피어 한창 짙은

[신앙칼럼] 이 또한 지나가리라(This Too Shall Pass Away, 전도서Ecclesiastes 3:1-8)

방유창 목사 혜존(몽고메리 사랑 한인교회)<다윗 왕의 황금반지>는 미드라쉬 성경(Midrash Bible)에 “이 또한 지나가리라(This Too Shall Pass A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