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와 명언]  討 伐 (토벌)

May 17 , 2023 6:56 PM
외부 칼럼 한자와 명언

*칠 토(言-10, 4급) 

*칠 벌(人-6, 4급)

 

문순태의 장편 소설 ‘피아골’ 중에 “그는 일 년 반 동안 보아라 부대원이 되어 빨치산 토벌의 공을 세운 대가로 비로소 자유의 몸이 되었다.”는 구절이 있다. 오늘은 이 가운데 ‘토벌’, 즉 ‘討伐’에 대해 요모조모 살펴보자.

討자는 잘못한 사람을 붙잡아[寸=又, ‘손’] 그 잘못된 점을 말[言]로 ‘따지다’(discriminate)는 뜻이다. 후에 ‘논의하다’(discuss), ‘치다’(subjugate)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伐자는 창[戈․과]으로 사람[亻]의 ‘목을 베다’(beheading)는 뜻이었다. 알고 보면 등골이 오싹해지는 글자다. 후에 일반적 의미의 ‘베다’(cut down), ‘치다(to attack)’, ‘공격’(an attack) 등으로 확대 사용됐다. 

討伐은 ‘적을 쳐서[討=伐] 공격함’ 또는 ‘공격하여 무찌름’을 이른다. 밖에 있는 적을 무찌르기 전에 먼저 자기 자신 속에 있는 적들(나태, 안일 등등)을 전멸시켜야 한다.

‘장자’(莊子) 산수(山水) 편에 나오는 다음 명언도 알아두면 삶에 값진 양식이 될 것같다. 해석은 긍정과 부정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곧은 나무가 먼저 베어지고, 

 맑은 우물이 먼저 고갈된다.”

 直木先伐, 초목선벌 

 甘井先竭, 감천선갈

● 전광진(성균관대 명예교수/속뜻사전 편저자).

Copyright ⓒ 한국일보 애틀랜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둘루스 총기점, 자진 폐업

어린이들 죽음에 책임감 느껴   둘루스에 '조지아 볼리스틱스' 총기 상점을 운영하고 있
사회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