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자(숙명여대 미주총회장)
인간이라는 존재는 여인숙과 같다
매일 아침 새로운 손님이 도착한다
기쁨,절망, 슬픔
그리고 약간의 순간적인 깨달음 등이
예기치 않은 방문객처럼 찾아온다
그 모두를 환영하고 받아 들여라
설령 그들이 슬픔의 군중이어서
그대의 집을 난폭하게 쓸어 가 버리고
가구들을 몽땅 내가더라도
그렇다해도 각각의 손님을 존중하라
그들은 어떤 새로운 기쁨을 주기 위해
그대를 청소하는 것인지도 모르니까
어두운 생각, 부끄러움, 후회
그들의 문에서 웃으며 맞으라
그리고 그들을 집 안으로 초대하라
누가 들어오든 감사하게 여기라
모든 손님은 저 멀리서 보낸
안내자들이니까. (시 , 지하르딘 루미 1207-1273, 페르시아 수피,신비주의 시인)
신비주의 시인 루미는 그 영혼이 맑고 깨끗하여 그 시속에는 인간의 간절한 염원과 신의 응답의 깨달음
하늘을 향해 기도하는 영혼의 갈급함이 우화처럼 그려져있다.
'물이 흐르는 곳이면 어디든지
생명이 피어난다.
눈물이 떨어 진 곳이면 어디든지
신의 자비가 드러난다.
플로리다를 휩쓸어 간 허리케인으로 그림같은 도시가 초토화 돼 버린 그 아픔 속에서
지구별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 과연 무엇인가 ?
과학 문명이 부족함없이 인간을 행복의 절정에 이르게 해도 하늘이 그기도를 들어 줄 수 없다면…
지구별에 존재한 인간은 과연 누구인가…
세상은 어쩌면 하늘의 위로 없이는 한시도 살수 없는 존재 아닐까…
'가슴에 하늘을 품다'는 말 루미의 시 한 수가 뜨거운 심장이란 말에는 "하늘 우러러 부끄럼 없이 살기를''
'윤동주 서시처럼'… 온몸으로 생명의 피어남을 노래하고있다. 시인이 아무리 영혼의 갈급함을 노래한들 하룻밤 사이
집을 잃고 처자를 잃은 그 자리에 있지 않으면 그 누가 그 처절한 아픔을 알랴.
얼마전 플로리다 키웨스트가 고향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을 읽으면서 가슴 저리게 인생이란 과연 무엇인가… 깊이 생각해 보았다.
노벨문학상을 받는 대작으로… 바다, 노인, 소년이 등장인물이 전부다.
바다가 그 생의 전부였던 노인은 평생 소원이 엄청나게 큰 물고기를 낚는것이 그의 꿈의 전부였다
노인을 사랑하는 소년의 휴머니즘, 그리고 바다, 노인은 어느날, 한생의 꿈을 이룬 거대를 물고기를 잡았다.
얼마나 감격한 노인은 생명을 걸고 거대한 물고기를 끌고 평생 소원을 이룬 감격에 지칠줄 모르고
잡은 물고기를 끌고 집으로 돌아온다. 노인의 생전의 꿈이 이루진것이다. 그러나 육상에 돌아와보니
그 거대한 물고기는 상어떼들이 다 살을 먹어치운 뒤 앙상한 뼈만 남았다. 긴 항해에 지친 노인도 육상에 도착해
죽고 만다는 '노인과 바다'… 누구나 한 번 쯤 읽어보았을 노벨 문학상을 받은 거대한 작품이다. 그러나
작품보다 더 리얼한 사실은 ' 노인과 바다'를 쓴 헤밍웨이 자신이 권총 자살을 한 사실이다.
그 작품을 다시 읽고 '' 사랑안에서 길을 잃어라'' 루미의 시가 내 가슴을 져몄다.
물이 흐르는 바다에는 물고기만 있는 것은 아니다. 생명이 피어나고, 신의 자비, 사랑이 흐름을 왜 몰랐을까?
신의 자비, 인간의 깨달음, 하늘 향한 눈물의 염원… 눈물로 울부짖는 영혼의 울부짖는 기도, 신의 숨결이 빠져있었다.
물질 만능의 지구별에는 가슴(HEART)이라는 말, 그 생명을 잃은지 오래다.
푸틴은 잃어버린 땅을 다시 찾을 욕심으로 전쟁을 일으켜 얼마나 많은 생명을 죽이고 있는가…
지구별에 닥친 수많은 질병, 전쟁, 기근으로 지구의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하는 이도 많다.
나는 가끔 세상 속에서 힘들 때 몰래 지구를 빠져나가 하늘 은하수 꽃길을 거닐은 꿈을 꾼다.
어린 왕자가 살던 별은 어디인가요? 의자만 바꾸면 해가 지는 노을을 마음껏 볼 수 있는 그 별은
어디에 있나요? 부르면 어디서나 사랑의 가슴으로 찾아오실 신의 나라?로 살아서 여행을 떠난다 .
슬픔도 축복이다. 슬픔 속에 찾아낸 신의 '축복의 잔'이라면…
그 슬픔의 잔은 축복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
누구나
눈물 한 말 한숨 한짐 씩 짊어지고
밤 하늘 별들을 헤매며 산다.
시인이 만들어 놓은 세상을 따라가다 보면
시가 헤매는 우리 마음을 잡아 줄지도 모른다.
어쩌면
밤하늘의 저 별들이
내 슬픔을 가져갈지도 모른다.{김용택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