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희 목사
오래전에 제게 상담을 요청했던 분 가운데 이런 분이 있었습니다. 그는 한 중소 기업의 젊은 사업가로 우리 사회의 기준으로 볼 때는 어느 정도 성공한 사람이었습니다. 사람들은 그를 부지런한 기업가로 장래가 매우 촉망되는 사람으로 평가해 주었습니다. 이렇듯 그는 사회적으로 볼 때 성공적인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분이 자기 아내와의 관계 때문에 저에게 와서 얘기를 나누게 되었는데 그는 집에만 들어가면 신경질이 난다고 합니다.
아내가 특별히 잘못한 일이 없는데도 아내만 보면 화가 난다는 것입니다. 아내는 미모도 뛰어나고 공부도 많이 했으며 매력도 있어서 다른 사람이 객관적으로 보기에도 참 좋은 아내였습니다. 그런 사실을 그도 알고 있었습니다. 자신이 아내를 평가해봐도 아내를 향해 불평이나 불만을 가져야 할 이유가 사실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도 그는 아내만 보면 화가 났고 그러다보니 아내에게 건강한 애정 표현을 하지 못하며 살고 있었습니다.
심지어 가끔씩은 그 화를 못이겨서 아내에게 손을 대기도 했습니다. 그럴 때마다 그는 ‘내가 이래서는 안되겠다’며 다짐을 하면서 어떻게 할 수 없는 자신의 모습 때문에 남모르는 고민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그의 말을 들으며 저는 그가 어린 시절을 어떻게 보냈는지에 관심이 갔습니다. 저는 곧바로 그의 성장 배경에 대해 여러가지 질문을 던졌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그의 어린 시절은 어느 정도 제 예측한 대로였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아버지에게 많은 구박을 받고 살아왔습니다. 그래서 그는 아버지에 대한 분노를 가지고 성장 했습니다. 그래서 그 분노를 누군가에게 표출을 해야 했는데 그 대상이 바로 자신의 아내였습니다. 이러다 보니 아무런 죄 없는 아내를 공격의 대상으로 삼고 분노를 표현했습니다.
성인 아동과 같은 그의 이런 모습은 어린 시절에 대한 피해 의식의 결과였습니다. 이런 예측만 보더라도 성인아동을 극복하지 못하면 건강한 부부 관계가 방해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성인 아동을 극복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임에 틀림없습니다.
성인 아동을 극복해야 하는 세 번째 이유로는 그 극복이야말로 건강한 자녀 양육의 토대가 되기 때문입니다.
유년기에 신체적 학대를 받은 181명의 사람을 조사한 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 그들 중 70%가 자기 아버지에게 구박을 당했던 것을 똑같이 자신의 자녀들을 구박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조사는 중요한 사실을 우리에게 알려줍니다. 학대받은 그들이 성장하면서 그 아버지를 향해 가지고 있던 분노를 해결받지 못했을 때 자신이 그토록 싫어하던 그 행동을 똑같이 반복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사람은 어떤 대상을 미워하기 시작하면 그 미워하는 대상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심리학적인 현상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건강한 자녀를 기를 수 없는 까닭이 여기에 있습니다.
일례로 알코올 중독자 자녀들의 경우 비 알코올 중독자의 자녀들과 비교했을 때 그들이 나중에 알코올 중독자가 될 가능성이 다른 집안의 자녀들보다 4배나 더 높다고 합니다. 이것은 실제의 통계자료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건강한 자녀를 기르기 원한다면 어린 시절의 부정적 영향을 극복해야만 합니다.
이 외에도 성인아동을 극복해야 하는 네 번째 이유는 성인 아동의 극복이야말로 창조적이고 행복한 가정 만들기의 절대적인 요건이기 때문입니다.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