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자(숙명여대 미주총회장)
모란이 피기 까지는나는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 뚝 떨어져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인 설음에 잠길테요
오월 어느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져 시들어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은니
모란이 지고말면 그뿐 내 한해는 다 가고말아
삼백예순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 시, 김영랑 1903-1950)
김영랑 시인은 내 고향 전남 강진에서 태어난 시인으로 그의 본명은 윤식이다. 1917년 15세 때 희문 중·고를 입학, 시인 박종화, 홍사용과 더불어 시작을 꽃피웠고 시인 정지용과 더불어 한국 문단을 꽃피운 시인이며 3.1운동이 일어나자 종로 거리에서 독립 만세를 부르다가 체포되어 심한 고문을 받았다. 그 후 일본 청산학원에 입학하여 혁명가인 평생 지우인 박용철과 시작 활동을 했으며 ‘모란이 피기까지는’은 일제 탄압에서 조국 해방을 기다리는 시이다. 꿈에도 잊지 못한 내 조국에 대한 그리움을 가슴에 안고 살았다. 1950년 6,25 동란에 그때 맞은 포탄으로 중상을 입고 그의 나이 47세 나이에 타계하셨다. 내 고향 강진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만든 ‘모란 다방’이 지금도 옛모습 그대로 시인을 그리워한다.
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돌담에 속삭이는 햇별같이
풀아래 웃음짓는 샘물 같이
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
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새악시 볼에 떠오르는 부끄럼같이
시의 가슴 을 살프시 젖는 물결같이
보드레한 에메랄드 얇게 흐르는
실비단 하늘을 바라보고 싶다 (시, 김영랑 )
김영랑 시인의 시는 그의 첫사랑 무용가 최승희에 대한 그리움이 시마다 가슴 사무친다. 최승희는 숙명여대 출신으로 모교 ‘순헌관’에 절세미인 최승희 선배님 검정 치마, 흰 저고리 사진이 마치 어제인듯 그리움이 가슴 에인다. 6,25 때 납북된 최승희는 북한에서도 유명한 무용가로 잘 알려진 숙명의 잊을수 없는 나의 선배님이시다. 남도 천리 뱃길 따라 내 고향 강진은 이름 난 조국의 선비들의 귀향살이로 유명한 곳이기도하다. 김영랑 시인의 바로 이웃 동네에는 다산 정약용 선생님 유배지로 유명한 다산 초당에 ‘천일각’이 홀로 석문산 기암 절벽에 옛님을 기린다. 완도행 뱃길따라 귀향살이 설움을 달래시며 다산 초당, 천일각에서 얼마나 애타게 당파에 갈기 갈기 찢긴 조국에 대한 한을 가슴에 품고, 500여 권의 책을 집필하셨다. 다산은 한국의 ‘플라톤’으로 많은 젊은이들이 다산 초당에, 완도에 지금도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그 시절 내 고향 강진에는 윤선도, 추사 김정희, 초의 선사가 다산 초당에 모여 시와 예술의 향으로 외로움을 달래셨다. 밤이면 다산 초당에서 차를 마시며 조국에 대한 애타는 그리움, 당파 싸움으로 무너져가는 조국을 가슴 아파하셨다. 그때 내 조국에 다산같은 어른을 귀향살이로 버리지 않았다면 내 조국의 모습은 크게 달라졌을 것이다.
지금도 선거 때만 되면 지역 싸움, 출신이 왜 그리 중요할까… 조국의 장래는 내 눈엔 아픔이 어른거린다. 크게 보는 대안이 없다. 고구려 때 내 조국 땅이었던 그 만주 벌판을 왜 남의 땅으로 빼앗기고 지금의 한반도, 지구에 점하나 찍은듯 작은 땅 한반도 허리가 동강난 내 조국 그 아픔은 그 잘난 당파 싸움은 왜 아직도 끝나지 않았는지 모른다. 지금도 선거철만 되면 지역 감정, 출신이 어딘지가 왜 그리 중요할까. 조국을 짊어질 그들 가슴에는 반백년의 얼룩진 역사의 아픔을 기억이나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정치하는 사람들은 한민족 역사를 다시 돌이켜보고 내 조국을 가슴에 보듬고 갈 어진 인물이 오늘은 다시 그립다.
꽃이 꽃을 향하여 피어나듯
사람과 사람이
서로 사랑하는 것은
그렇게 묵묵히
서로 바라보는 일이다
사랑은 저만치
피어있는 한 송이 풀꽃
이 애틋한 몸짓
서로의 빛깔과
냄새를 나누어 가지며
사랑은 가진것
하나씩 잃어가는것
각기 다른 인연의 끝에 서서
눈물에 젖은 눈빛 하늘 거리며
바람 결에도 곱게 무늬 지는 가슴
사랑은 서로의 눈물 속에
젖어 가는 일이다. (시, 문병란)
바로 내가 태어난 만덕산 옆이다. 난 어린 시절 누가 살았던 곳인지도 모르고 대숲이 우거진 초당앞 ‘정석’이란 돌을 만지며 자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