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16일 피플지에 실린 커네티컷주에 거주하던 <시한부> 제이비(JB) 티케의 마지막 소원이 이뤄지는 슬픈 사연의 기사가 온 지구촌을 달궜습니다. 그는 생존 6개월의 <시한부> 선고를 받은 암환자였습니다. 그의 아내 헤일리 티케는 급격하게 건강이 악화되어 촌각을 다투는 <시한부 남편, 제이비(JB)>에게 죽기 전에 아들을 품에 안겨주고자 3주 앞당겨 제왕절개 수술로 아기를 출산하여 마지막의 순간을 행복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녀는 “남편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는 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전부였다” 고백했습니다. 3주 일찍 태어난 아기는 몸무게 3.3 키로그램으로 건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아기의 이름은 아빠의 이름 ‘제이비’(JB)를 따서 ‘존 비슨’(John Beeson)입니다. 헤일리는 <시한부 남편>을 기리는 의미를 담았다고 했습니다. <시한부>는 그야말로 “Time Limit”입니다. 이것은 “인간의 시간개념”에 의존하여 바라보는 시각입니다. 그리고, <시한부>를 극단적 운명론으로 바라보게 되면 그것은 “그리스도의 재림이 없다”라고 바라보게 되는 <시한부 종말론>으로 치닫게 됩니다.
<시한부>의 인생입니다. 언젠가 제이비 티케처럼 사람은 누구나 죽음을 맞이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사실을 심각하게 고민하였던 <사도 베드로>는 벧후 3장에서 <천 년과 하루>라는 시간의 개념을 <운명론적 시각>이 아니라, <희망의 시각, 생명의 시각>에서 보다 더 심도있게 말하면, <영혼의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우리의 영안을 활짝 열어 주었습니다(“사랑하는 자들아, 주께는 하루가 천 년 같고 천 년이 하루 같다는 이 사실을 잊지말라”). 베드로보다 훨씬 앞선 시대를 살았던 모세는 시편 90편에서 “주의 목전에는 천 년이 지나간 어제 같으며 밤의 한순간 같을 뿐임이니이다."(시90:4) 모세와 베드로의 동일한 일치점은 <영적 시각>입니다. “하루”를 <인간의 시간 개념인 24시간>으로 보지 말고, <하나님의 시각인 영원>으로 보는 눈을 가지라는 것입니다. JB처럼 비록 운명의 시계추는 촌각을 다툴지라도, <생명의 시각, 영혼의 시각>으로 아들의 손을 한 번 만져보고 죽겠다는 <단호한 생명의지>가 마침내 그 소원을 이루게 되는 것처럼 베드로는 우리에게 3 가지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첫째, <순간 순간이 소중하다. 순간 순간이 귀하다는 마음으로 살라>는 것입니다.
둘째, <시간은 언제나 기회로 생각하며 살라>는 것입니다.
셋째, <하나님은 우리에게 두 가지를 원하신다. 나를 향하여는 “성화의 길을 걸으라!”는 것이고,
이웃을 향하여는 “복음을 전하라!”>는 것입니다.
왜 하나님은 “하루를 천 년 같이 천 년을 하루 같이 살라”고 말씀하실까요?
하나님의 생각의 깊은 뜻은 베드로가 전한 마지막 메시지 그대로입니다. “주의 약속은 어떤 이들이 더디다고 생각하는 것 같이 더딘 것이 아니라, 오직 주께서는 너희를 대하여 오래 참으사 아무도 멸망하지 아니하고 다 회개하기에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벧후 3:9) ‘지구는 멸망한다.’ ‘인간은 시한부의 운명이다.’ 이와 같은 모든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일시에 종식시킬 수 있는 <영안의 결론>은 “천 년과 하루”는 하나님의 시각에서는 동등하다는 것을 잊지말라는 것입니다. <구원은 공평하고 하나님의 사랑도 공평합니다.> 새 해를 맞이하여 사는 우리는 이 마음으로 오늘 하루를 산다면 비록 하루를 살아도 그것은 곧 천 년을 사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