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모세(애틀랜타 문학회 회원)
음악 애호가들이 사랑하는 Opera Aria 중에는 서정적인 선율의 감미로운 곡들이 많이 있다. 삶의 고뇌와 환희, 사랑의 기쁨과 갈등을 격정적으로 노래하는 오페라 아리아는 정과 동의 클라이맥스로 심금을 울리는 감동과 전율이 있다.
오페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사전달의 어려움이 따르기도 하지만 아리아를 통해 오페라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생생한 느낌이 있다.
오페라의 진수인 아리아의 감미로움에 빠져드는 황홀한 순간은 가슴 뛰게 하는 열정과 함께 더할 나위 없이 귀중하고 매혹적인 체험이라 여겨진다.
불후의 명곡인 오페라 아리아를 감상하는 이 순간은 음악을 듣는 이로 하여금 가슴을 열고 순수한 감성을 일깨우는 희열의 순간이다.
푸치니 작곡 오페라 ‘토스카’ 중에서 ‘별은 빛나건만’은 오페라 중에서 백미라 할 수 있는 명아리아이다. ‘토스카’ 제3막에서 남자 주인공 ‘카바라도씨’가 형장에서 죽음을 맞기 전에 연인 ‘토스카’와 지난날의 뜨거웠던 사랑과 갖가지 추억에 목이 메어 부르는 애절한 아리아이다.
“별은 빛나고 대지는 달콤한 향기로 가득 차 있고 정원의 문소리가 나며 달려오는 그녀가 내 팔에 안긴다. 그리고 떨면서 베일을 벗는다”
금세기의 명 테너 중에 엔리코 카루소, 베나미노 질리. 티토 스키파,. 디 스테파노. 탈리아비니. 유시 뵤를링, 마리오 란자, 루치아노 파바로티, 플라치도 도밍고, 호세 카레라스 등이 있다.
어느 테너의 ‘별은 빛나건만’이 명창이냐는 것은 각자 테너들의 개성과 창법이 다르고, 음악을 듣는 감상자의 음악적 취향에 따라 선호도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다.
필자의 경우에는 질리의 ‘가락’으로 불리는 영탄조의 테너 ‘베나미노 질리’(1890-1957)의 마음을 뒤흔드는 애절한 절창에 길들어져 있다.
현존하는 명 테너 ‘도밍고’의 ‘별은 빛나건만’도 극적인(비장한) 표현력이 마음에 깊숙이 와 닿는 것 같다.
도니제티의 오페라 ‘사랑의 묘약’ 중에서 ‘남몰래 흐르는 눈물’(Una Futiva Lagrima) 애창곡을 원어로 멋을 내어 따라 부르던 젊은 시절이 있었다.
옛 시절의 치기어린 낭만이었다. 그때는, 한 개인의 설익은 낭만도 멋으로 여기던 시절이었다.
이 곡은 ‘베냐미노 질리’와 동시대에 태어나 제2차 세계대전 후까지 함께 활동했던 이태리 태생 테너 ‘티토 스키파’(1889-1965)의 명창이 어느 테너도 따라갈 수 없다는 생각이다.
베냐미노 질리가 감미로운 Lirico(서정적)인데 비해 티토 스키파는 경쾌한 Leggiero(우아한) 음성이었다.
그의 매혹적인 미성은 부드럽고 달콤하며 감칠맛 나는 노래의 절묘함(음을 점점 약하게 해서 부드럽고 아주 여리게 노래함)은 황홀경으로 몰아간다.
‘토마’(1811-1896)의 오페라 ‘미뇽’ 중에서 ‘그대는 아는가? 남쪽 나라를’ ‘그곳은 오렌지 꽃이 피고 금빛의 과일이 익고 장미는 빨갛게 물들어 있습니다.’ ‘그대는 아는가? 남쪽 나라(이태리)를’ 여주인공 ‘미뇽’(청순하고 가련한 캐릭터)의 아리아는 선율이 서정적이며 아름답기 그지없다.
메조소프라노 ‘자네 로데스’가 청아한 음성으로 노래한 이 아리아의 투명한 잔향이 오랫동안 그윽한 향기로 남아있다.
벨리니의 오페라 ‘노르마’ 중에서 아리아 ‘정결한 여신’(Casta Diva)은 초절 기교적인 소프라노 마리아 칼라스의 음악적 재능과 풍부한 가창력이 최고로 발휘된 절창이다.
혼신의 열정을 쏟아 노래하는 ‘정결한 여신’을 듣는 순간, 칼라스의 엄청난 성량에 압도된다. 로마제국의 지배 아래 있는 ‘골’ 지방, 드뤼드 교도들의 신성한 숲이 노르마의 무대이다. 여사제인 노르마가 로마 총독 폴리오네를 사랑하는 괴로움과 변심한 사나이에 대한 집착, 조국에 대한 충성, 조국이냐 사랑이냐 애정과 의무 사이에서 몸부림치는 고통의 심정을 처절하게 노래하는 ‘정결한 여신’ 아리아는 지금까지, 이 배역을 가장 완벽하게 노래한 성악가가 ‘마리아 칼라스’이다.
지극히 어렵기 그지없는 화려한 콜로라투라(기교적으로 장식된 선율)와 드라마틱한(극적인) 표현을 동시에 요구하는 이 아리아를 마리아 칼라스가 어느 소프라노도 따를 수 없는 빼어난 기교로 노래했으며 엄청난 감동을 이 오페라에 불어 넣었다.
칼라스의 노르마냐, 노르마의 칼라스냐, 마치 등식처럼 되어버린 ‘칼라스’의 뛰어난 ‘정결한 여신’ 아리아는 깊은 울림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