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100달러 넘나… 중동 전쟁에 ‘오일쇼크’ 우려
글로벌 | | 2023-10-09 10:24:51오일쇼크
단기간 상승할 것 전망,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무력 충돌 규모가 커지면서 겨우 하락세에 들어간 국제유가가 다시 급증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로이터]](/files/upload/2023/10/09/8a689e68_89_505d80b9e4629ede72cdb6bfef4b6c37.jpg)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무력 충돌 규모가 커지면서 국제 유가 상승 불안이 커지고 있다. 최악의 경우 유가가 다시 100달러를 훌쩍 넘고 소매 개솔린 가격도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국제 원유 시장이 이번 사태가 시작된 7일부터 주말 휴장에 들어간 가운데 월요일인 오늘(9일) 개장 이후 유가가 어떤 반응을 보일지 시장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8일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에너지 시장 전문가들은 유가가 당장은 오를 수 있지만, 이번 사태가 유가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모두 원유 생산지가 아니어서 사태가 다른 중동 국가로 확산하지만 않는다면 실제 영향은 별로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석유·가스시장 전문가인 반다나 하리는 CNBC에 9일 유가가 조건반사적으로 오를 수 있지만, 사태가 더 번지지 않고 중동 지역의 석유·가스 공급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점이 인식되면 가라앉을 것으로 예상했다.
에너지 컨설팅업체 ‘팩트 글로벌 에너지’의 이만 나세리 중동 담당 상무도 “양측(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이 미국과 이란을 비롯해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국가들이 직접 관련되는 중동 지역 전쟁으로 빠르게 번지지 않는 한 유가가 받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태가 유대교 명절을 틈탄 아랍 측의 기습 공격으로 시작됐다는 점에서 1973년 발발한 제4차 중동전쟁(‘욤 키푸르 전쟁’)과 닮았다는 평가도 관심을 끈다.
욤 키푸르 전쟁이 바로 역사적인 제1차 오일쇼크를 불러왔듯이 이번 사태가 유가 급등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블룸버그 통신의 에너지·원자재 칼럼니스트인 하비에르 블라스는 전날 게재한 칼럼에서 이번 무력 충돌로 1973년 오일쇼크 같은 사태가 재연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평가했다.
우선 1973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 등 주요 아랍 국가들이 일제히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지지하면서 강력한 석유 감산에 나섰지만, 이번에는 일단 그런 움직임은 전혀 없다는 것이다. 또 석유수출국기구(OPEC) 소속 산유국들도 유가를 수백% 이상 폭발적으로 끌어올리려 했던 당시와 달리 현재는 유가를 소폭 높이는 수준에 만족하고 있다.
유사시 유가 급등을 제한할 미국 전략비축유(SPR)의 존재도 당시와 차이다. 하지만 이번 사태가 중동의 다른 국가들로 확산할 가능성이 전혀 없지는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안심할 상황은 아니라는 경고도 나온다.
실제로 이란의 지원을 받는 레바논 내 무장세력 헤즈볼라가 이날 이스라엘 점령지에 박격포 공격에 나서면서 사태 확산 우려가 일고 있다.
블라스 칼럼니스트는 하마스를 지원하는 이란이 이번 사태의 배후에 있다고 이스라엘이 판단해 이란 공격에 나서면 유가가 급등하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월스트릿저널(WSJ)에 따르면 지난 수년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해 대이란 제재를 느슨하게 집행하면서 이란의 원유 수출량은 증가세를 지속해왔다.
그 결과 이란의 원유 생산량은 현재 일간 300만 배럴을 넘겼고 수출량은 일간 200만 배럴에 육박, 2018년 도널드 트럼프 전 미 행정부의 이란 원유 수출 제재 이후 최대 수준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란이 하마스의 공격을 배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나 미국이 이란 원유 수출 제재를 강화할 경우 현재 80달러대인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는 물론 그 이상으로 치솟을 가능성도 있다고 블라스 칼럼니스트는 전망했다.

하마스, 휴전 이후 인질 총 58명 석방… 미국 국적 아이도
3일차에 17명 석방… 팔레스타인 수감자 39명도 하마스에게 납치됐던 이스라엘 소녀 에밀리 핸드가 26일 풀려나 아버지와 재회의 포옹을 하고 있다. [로이터]팔레스타인 무장정파

바이든 “경쟁 비화 막아야”… 시 “충돌하면 감당 불가”
미중 정상 1년만에 대좌 조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5일 각료들과 함께 확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로이터]‘2개의 전쟁’으로 요동치는 국제 정세 속에, 미중

베일 벗은 비틀스의 마지막 노래…30대 레넌과 80대 매카트니의 만남
아련하고 풍성한 사운드 특징…AI 오디오 기술 발달로 존 레넌 목소리 복원매카트니 "진정한 비틀스 노래 탄생"…스타 "존이 진짜 있는 듯"비틀스/APPLE CORPS LTD 영국

멕시코 휴양지 덮친 허리케인… 39명 사망
28일 허리케인 등급 중 가장 강력한 5등급 세력 ‘오티스’가 훑고 지나간 멕시코 게레로주 아카풀코 해안가의 리조트 일대가 초토화돼 있다. 멕시코 정부가 제공하는 일일 대응 보고서

‘역대급 허리케인’ 멕시코 휴양지 강타… 피해 속출
‘역대급 허리케인’ 멕시코 휴양지 강타… 피해 속출 한때 순간 최고풍속 시속 200마일을 기록할 정도로 위력적이었던 허리케인 ‘오티스’의 영향으로 멕시코 중부에서 피해가 속출했다.

122년 만에 최악 가뭄, 배도 못 뜨는 아마존강
1902년 측정 시작 후 최저 수위 16일 브라질 아마조나스주 마나우스의 네그로강이 가뭄으로 수위가 낮아지면서 여객선 등 배가 지면 위에 덩그러니 놓였다. [로이터]‘풍부한 수량
“바이든, 18일 이스라엘 방문할 듯”
이스라엘 언론 소식통 보도 조 바이든 대통령이 16일 예정된 콜로라도 일정을 갑자기 취소했다. 언론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오는 18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침공을 받은 뒤 보

지상군 투입 초읽기…가자지구 ‘피바다’ 공포
국제사회 확전 만류 속 이스라엘 보복전 고수 16일 이스라엘을 방문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무장요원의 호위 속에 네타냐후 총리와의 회담장으로 입장하고 있다. 이날 회담 도중

하마스, 정류장·농장·집안서 학살…“아기 시신도 무더기”
이스라엘 남부 20여곳서 민간인 시신 속출 11일 예루살렘에서 하마스 공격으로 희생된 이스라엘 군인의 장례식이 열린 가운데 친지들이 슬퍼하고 있다. [로이터]팔레스타인 무장정파

공습·인질처형 ‘이-팔 전쟁’ 확전일로
가자지구 완전 봉쇄 양쪽 사상자 8천여명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전격적인 이스라엘 공격으로 촉발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이-팔 전쟁)이 교전 사흘째인 9일까지 양측 사망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