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대 높고 한국 홀대 많았던 애플
재일동포 드라마에 1,000억 투자
미 시사회 티켓 봉투에 무궁화 씨도
할리웃 최초로 ‘한국역사’ 주제 대작 제작
배우 한준우(38)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애플 T+의 드라마‘파친코’ 미국 시사회 티켓을 보고 깜짝 놀랐다. 티켓이 담긴 종이 봉투 앞면엔 무궁화가 수묵화처럼 그려졌고, 봉투 안엔 무궁화 씨가 들어 있었다.
미국 영화의 전당에 뿌려진 무궁화 씨
한국도 아닌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글로벌 시사회에서 외국 관객들 손에 쥐어진 무궁화 씨앗이라니. ‘파친코’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선교사 아들 요셉을 묵직하게 연기한 한준우는 12일 본보에 “이 ‘무궁화 티켓’으로 ‘파친코’에 담긴 우리 역사뿐 아니라 이민자들의 애환을 외국 관객들이 더 공감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지난달 16일(현지시간) 미국 영화의 전당인 아카데미뮤지엄에서 무궁화 씨 수천 개를 뿌린 ‘농부’는 한류 팬들이 아닌, 애플이었다.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애플 마케팅팀 내 아시아계 미국인 직원이 ‘무궁화 티켓’ 아이디어를 냈다고 한다.
세계화의 상징인 애플이 드라마 홍보를 위해 가장 한국적인 국화를 활용한 시사회 티켓으로 한국 이야기를 세계에 퍼트리고 있는 것이다. ‘파친코’는 1910년대부터 1980년대를 오가는 대서사시로,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건너간 재일교포(자이니치)와 아직도 이방인으로 살고 있는 그 후손들의 삶을 다룬다.
‘기생충’ 뜨기 전… 애플의 1,000억 농사
무궁화 향이 밴 ‘파친코’는 안팎으로 화제다. 8부작 가운데 다섯 편이 공개된 12일 기준 넷플릭스 등 OTT 오리지널 콘텐츠를 통틀어 국내 1위(키노라이츠 기준)를 차지했고, 미국에선 최근 한 달 동안 현지 드라마 이용자 평균보다 3.4배(패럿 애널리틱스 기준) 많은 이들이 시청 했다. 보수 성향의 영국 일간 텔레그라프는 “이 조용한 한국 걸작이 우리 드라마를 부끄럽게 만든다”고 극찬했다.
타임 등에 따르면 ‘파친코’의 회당 제작비는 영국 왕실 이야기를 다룬 넷플릭스 드라마 ‘더 크라운’(1,000만 달러·122억 원)에 맞먹는 수준이다. 할리웃에서 한국 역사를 주제로 1,000억대의 대작 드라마를 내놓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대형 프로젝트를 대부분의 미국 제작사와 OTT는 부담스러워했다. 백인 주인공이 아닌 데다, 주 언어도 영어가 아니기 때문이다. 화상으로 만난 테레사 강 로우 ‘파친코’ 총괄 프로듀서는 “이 프로젝트가 추진된 4년 전엔, ‘오징어 게임’과 ‘기생충’뿐 아니라 아시아 배우들이 주연을 맡고도 흥행한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2018)이 미국에서 흥행하기 전”
이라며 “당시엔 무모한 도전이라 여겨졌다”고 말했다. 넷플릭스와 애플TV+가 이 드라마 투자를 고민했고, 결국 ‘파친 코’는 사과마크(애플 로고)를 달고 나왔다. ‘파친코’는 한국 배우(윤여정, 이민호, 김민하)를 주인공으로, 한국어로 대사의 60% 이상을 채웠다.
“이민사회 문화 성장, 시장성 눈여겨본 것”
애플은 그간 한국을 홀대한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아이폰신제품발표 때 번번이 한국을 1차 출시국에서 제외했다. 콧대 높기로 유명한 애플은 왜 ‘파친코’에 거액을 쏟아부었을까. 이는 한국적 이야기가 ‘돈’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 상징적 사례라는 게 업계와 학계의 공통된 목소리다. 한류를 꾸준히 연구해 온 홍석경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원작 소설이 미국에서 흥행한 데다 아시아 시장도 매우 중요한 글로벌 OTT(애플TV+)에 ‘파친코’는 미국뿐 아니라 아시아 전체에 의미 있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며 “디아스포라, 즉 이민사회 문화의 성장과 맞물려 가입자를 끌어모을 수 있는 ‘파친코’의 시장성을 눈여겨본 것”이라고 진단했다.
드라마는 첫 회 일본의 식민 지배를 시작으로 쌀 수탈, 강제 징용 문제와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등의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다룬다. 소설보다 항일의 역사와 재일동포의 주체성이 강조됐다. “핏방울 하나하나가 못하게 막는다면.” 극중 노파가 한 이 말은 재일동포의 존엄을 돋을새김한다. 드라마가 공개된 뒤 일부 일본 우익들은 “완전 허구”라고 ‘파친코’를 깎아내리고, 애플TV+는 현지에서 철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양학부 교수는 “일본의 일부 누리꾼이 SNS에서 ‘한일합병은 한국 경제성장에 큰 도움을 줬다’ 등의 어이없는 비난을 하고 있다”며 “글로벌 OTT를 통해 일본의 가해 역사가 전 세계에 제대로 알려질까 봐 두려워하는 현상”이라고 비판했다.
‘일본 냉대’모를 리 없는 애플의 실험
일본의 거센반발은 드라마 제작 전부터 예상된 일이었다. 일본의 냉대를 모를 리 없는 애플은 글로벌 OTT 시장에서 ‘파친코’ 콘텐츠 농사를 밀어붙였다. 재일동포의 애환이 곧 이 시대 세계 난민과 이주민이 지닌 상처이고, 그 응축된 고통을 뚫고 일어서 선진국으로 도약한 게 한국의 이야기다. 이 ‘한류 스토리’를 식민 혹은 이주 생활을 경험한 세계 여러 나라 시청자들이 한국인처럼 적극 소비할 수 있을 것이란 전략적 판단을 애플이 했을 것이란 의견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파친코’는 식민지 역사나침략을 경험한 베트남, 우크라이나, 폴란드, 체코를 포함해 무려 40여 개 언어로 자막이 제공된다. 김성윤 문화사회연구소 연구원은 “미국 내 정치적 올바름 이슈와 ‘화이트 워싱’에 대한 반발이 커지고 있고, 애플이 글로벌 OTT 후발주자인 만큼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모험적 시도를 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승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