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의 대표 플래그십 세단 K9이 전방 예측 변속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사양을 갖춰 돌아왔다.
지난 29일 기아의 미디어 시승 행사에 참여해 더 뉴 K9 3.3 가솔린 터보 모델을 몰고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경기도 포천의 한 카페까지 왕복 약 90㎞ 구간을 주행했다.
신형 K9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기아가 세계 최초로 적용한 전방 예측 변속 시스템이다.
전방 예측 변속 시스템은 내비게이션과 전방 레이더, 카메라로 수집된 정보를 활용해 전방의 가·감속 상황을 예측하고 미리 최적의 기어단으로 변속하는 기술이다.
드라이브 모드를 스마트 모드로 설정하면 자동으로 전방 예측 변속 시스템이 작동된다. 다만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기능이 꺼진 상태여야 작동이 가능하다.
커브 길에서는 도로의 커브 정도와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고, 내리막길에서도 차량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엔진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식이다.
실제로 시승 내내 스마트 모드로 주행하며 전방 예측 변속 시스템을 작동해봤다.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빠져나오는 길에 내리막길이 나타나자 별도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아도 차량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커브 길에서는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감속은 확인하지 못했다. 오히려 전방 예측 변속 시스템을 믿고 있다가 서둘러 브레이크를 밟으며 커브 길을 빠져나와야 했다.
이는 기아가 일반 도로에서 전방 예측 변속 시스템이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도록 설정했기 때문이다. 도로의 굽어진 정도나 차량의 속도 등을 토대로 코너링에서 몸이 쏠리는 정도를 예측해 현재 주행 상황이 과도하지 않을 때는 이 시스템도 작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인지 실제 주행에서는 전방 예측 변속 시스템이 작동하는지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았다.
고속도로 합류 지점에서는 일시적으로 스포츠 모드로 자동 전환됐다. 차량이 쉽고 빠르게 본선에 합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