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TV 볼 때 눈을 찌푸리고 보고 사진을 찍으면 고개를 숙인 채 눈을 치켜들고 째려보는 소영(8)이는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뒤 수업시간에 칠판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다고 해 엄마가 안과를 데려갔더니 ‘약시’ 진단을 받았다.
약시는 안과 검사상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는데 안경 등을 낀 교정시력이 잘 나오지 않는 상태다. 교정시력이 0.8 미만이거나 로그마 시력표상 두 눈의 시력이 두 줄(약 0.2) 이상 차이 날 때 시력이 낮은 쪽을 일컫는 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사시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만 8세 이후 발견하면 교정이 어려워져 심각한 시력장애 위험에 빠지기도 한다. 특히, 최근 유아의 TV,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이 늘고 조기 교육이 증가하면서 소아 약시 환자가 많아지고 있다.
약시에는 사시약시, 폐용약시, 굴절이상약시, 굴절부등약시, 기질약시 등 원인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사시가 약시의 원인이면 ‘사시약시’라고 하며, 4세 이전에 잘 생긴다.
‘사시’란 양안의 정렬 방향이 동일하지 않고 한쪽 눈이 상대적으로 외측 또는 내측으로 편위된 상태를 말한다.
다음으로 ‘폐용약시’라는 것은 눈꺼풀 처짐, 백내장, 각막 혼탁 등 눈 안으로 빛이 정상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상황이 있을 때 발생하는 약시다. 어린이의 경우 한쪽 눈 시력이 떨어지는 것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적절한 조기검진을 통해 이러한 기질적 이상 여부를 확인해야 약시를 예방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굴절이상 약시’란 근시, 원시, 난시 등의 굴절 이상이 심하게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약시다. 활동이 주로 가까운 거리에 국한돼 있는 어린 소아는 근시보다 먼 거리는 잘 보이나 가까운 곳이 흐리게 보이는 원시에서 약시가 더 잘 발생한다.
네 번째로 ‘굴절부등 약시’란 양안의 굴절력 차이 때문에 더 굴절 이상이 심한 눈에 약시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양안의 굴절력 차이가 있으면 굴절부등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양안 망막상 크기와 선명도가 다르므로 융합이 불가능해 좋은 쪽 눈을 주로 사용하고 나쁜 쪽 눈의 정보는 무시하게 돼 약시가 생긴다.
끝으로 ‘기질약시’는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망막의 시신경 조직이나 시신경 경로의 특정 부분에 이상이 있어서 발생하는 약시다. 문 교수는 “약시는 일찍 발견해 조기 치료하는 것이 효과가 좋은데, 시력이 완성되는 취학시기 이전에 빨리 치료할수록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간혹 약시의 치료시기를 놓쳐 성인이 되어서까지 심각한 시력장애가 생기는 안타까운 경우를 종종 본다”고 했다.
약시 치료율은 만 4세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95%다. 만 8세에는 완치율이 23%로 떨어지기에 그만큼 빠른 진단과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아이의 경우 자신의 시력이 좋은지 나쁜지를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부모의 관심이 필요한데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해서는 만 3세가 되면 안과에 가서 시력검사를 받도록 해야 하고 정기적인 검진과 지속적인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아이가 눈을 잘 맞추지 못하거나, 눈을 찌푸리거나 째려보며 사물을 보는 경우, 또는 유난히 햇빛 등에 눈부심이 심하고, TV나 책을 가까이서 보려고 한다거나, 독서나 놀이에 오래 집중하지 못하고, 자주 넘어지는 등의 증상 중 1~2개 이상이 아이에게서 보인다면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약시 소견이 있으면 상대적으로 안 보이는 눈의 발달을 위해 약시 원인을 교정한다. 우선 약시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눈꺼풀 처짐, 백내장 같은 기질적 이상을 치료하고, 굴절이상은 안경을 사용하여 교정해 준다.
또한, 한쪽 눈에 약시가 있으면 정상 시력 눈의 ‘가림치료’를 통해 약시안의 시력 회복을 꾀할 수 있다. 가림치료의 효과에 따라 가리는 시간과 기간을 정하게 된다.
한편, 사시가 동반되면 굴절이상 교정과 가림 치료를 병행하면서 사시안의 시력과 사시의 호전 여부를 확인한 다음 필요할 때 사시 수술을 결정하게 된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자녀의 약시를 만 8세 이후에 발견하면 교정하기 어렵기에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한국일보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