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로 기업들 3월까지 재고 축적
의약품 관련 수입 250억 달러 급감
적자 감소에 2분기 성장률 반등할 듯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서 지난 4월 미국의 무역적자가 한 달 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연방 상무부는 올해 4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616억 달러로, 전월 대비 757억 달러(-55.5%) 감소했다고 5일 밝혔다.
적자 폭은 지난 2023년 9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작았고,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633억 달러)을 밑돌았다.
4월 수출이 2천894억 달러로 전월 대비 84억 달러(3.0%) 늘어난 반면 수입은 3천510억 달러로 전월 대비 684억 달러(-16.3%) 줄면서 적자 폭 감소에 크게 기여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이 주문을 앞당겨 3월까지 수입품 재고를 확보했다가 4월 들어 고율 관세가 발효된 국가 및 품목을 중심으로 수입 물량을 줄인 것으로 풀이된다.
4월 무역수지를 세부 항목별로 보면 소비재 수입의 감소 폭(329억 달러 감소)이 가장 컸다. 의약품 조제용 물질의 수입이 260억 달러 줄어든 게 소비재 수입 감소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의약품 조제용 물질의 주요 수출국이었던 아일랜드와 적자 폭은 3월 293억 달러에서 4월 95억 달러로 급감했다.
4월 중 관세전쟁이 격화됐던 중국은 적자 폭이 3월 242억 달러에서 4월 197억 달러로 감소했다.
4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54억 달러로 팬데믹 초기인 2020년 3월(196억 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었다고 상무부는 설명했다.
3월만 해도 적자 폭이 154억 달러에 달했던 스위스는 4월 들어 35억 달러 흑자로 전환했다. 미국은 관세 시행을 앞두고 3월까지 스위스로부터 금 수입을 지속해왔다.
4월 무역수지 적자 폭이 절반 수준으로 줄면서 미국의 성장률도 2분기 들어 크게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발표된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감률(잠정치)은 -0.2%(직전분기 대비 연율)를 나타냈다. GDP의 차감 요인인 수입이 1분기 중 급증한 게 주된 배경이 됐다.
지난 3월 미국의 무역 적자는 1천383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