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감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 속에 최근 미국 달러 가치와 국채 금리가 따로 움직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난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4.16%에서 4.42% 수준으로 올라왔다.
같은 기간 주요 6개국 통화(유로화·엔화 등)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4.7% 하락했다.
미 국채 금리와 달러 가치는 최근 몇 년간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왔는데 그 상관관계가 깨진 것이다.
둘 사이의 상관관계가 거의 3년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는 게 FT 설명이다.
투자은행 UBS의 새합 자리누스는 "미 국채의 위험성 증가, 재정 우려, 정책 불확실성 때문에 금리가 올라간다면 이와 동시에 달러는 약해질 수 있다"면서 "신흥시장에서 더 자주 보이는 패턴"이라고 말했다.
모건스탠리는 10년물 미 국채 금리도 올해 연말까지 4%로 떨어지고 내년에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로 하락 폭이 커질 수 있다고 봤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