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자(시인·수필가)
‘아 가을인가’ 이 가곡은 가을이 돌아오면 저절로 흥얼거리게 되는 노래다. 후반부 소절엔 멜로디도 가사도 기억이 흐려지려 했는데 이번 주 합창단에서 악보를 받게 되었다. 반가웠다. ‘아! 가을인가 / 아! 가을인가 / 아~ 가을인가 봐 / 물동이에 떨어진 버들잎 보고 / 물 긷는 아가씨 고개 숙이지 / 아! 가을인가 / 아! 가을인가 / 아~가을인가 봐 / 달빛이 고요히 창에 비치면 / 살며시 가을이 찾아 오나 봐 / 김수경 시인의 시에 나운영 교수님이 14세에 곡을 써서 만들어진 곡으로 그윽하면서도 밝은 서정을 음미할 수 있는 아름다운 곡이다. 1936년에 작곡된 곡으로 지금으로부터 88년 전에 만들어진 가곡이다. 나운영 작곡가는 1922년에 출생하시어 1993 년에 작고하시기까지 수많은 교향곡, 협주곡, 미사곡, 오페라, 가곡 등 여러 분야의 음악을 작곡하셨고 성가 곡으로 ‘주께 드리네’ ‘여호와는 나의 목자 시니’ ‘피난처 있으니’ 등 성가 독창 곡15곡 외에 성가 합창곡과 많은 칸타타 곡들을 남기셨다.
여학교 시절에 즐겨 불렀던 가곡이며 민족 혼을 노래했던 음악들이 거의 50년에서 80년 전 작곡된 노래들로 옛 사람들의 고유한 정서가 배어 있다. 유년 시절, 고운 동요들이 지금에까지 기억 속에 머물러 있는 곡들을 문득 문득 불러보곤 한다. 그 시절에 즐겨 불렀던 노래 속에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감성을 토닥여 주었던 곡들로 기다림, 그리움이 내재된 애틋한 노래들이었다. 사람이 사람을 기다리고, 사람을 그리워하고, 살포시 사랑을 내비치던 대상이 사람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현관에 벨 소리가 나면 보고싶고 기다리는 사람이 아닌 택배가 기다리고 있는 시대로 흘러왔다. 현대인들 손에는 종일 핸드폰이 들려 있는 시대로 접어 들었고 그리도 고왔던 정은 설 자리를 잃어가고 정이란 말조차 임차 임대의 모호한 관계로 전향되는 서글픈 시대상 연출이 진행되고 있다. 다사로운 유년시절의 티 없이 맑고 운치 있는 정을 찾아 보기 힘든 시대상으로 돌아 선지도 오래다.
봄이면 Duck Wood가 애틀랜타 고유 봄꽃으로 불리울 만큼 하얀 꽃을 피워내며 봄날을 장식하고, 가을이면 단풍 중 으뜸 빨강으로 상큼하고 화사한 애틀랜타 가을을 단장해 주었는데 해마다 산뜻한 선홍으로 치장했던 Duck Wood가 어찌 올해는 기후 변화 탓인지 세월에 지친 기색이 완연한 터라 곱게 물든 잎새를 띄우지 못할 것 같은 조바심으로 단풍이 찾아들 가을 날을 군걱정하기에 이르렀는데 가을 햇살은 아침 저녁으로 새아씨처럼 비단결 같은 흐느낌으로 다가왔다가 해가 중천으로 솟으면 한여름 더위를 연상시키 듯 따갑던 흔적이 엿보인다. 가을은 온통 울긋불긋 종잡기 힘든 색상들을 연출하며 산야를 휘젓고 다니지만 언제나 틈바구니 계절이 되어 하마 들어섰는가 돌아볼 참이면 어느새 떠나버리고는 간간이 틈새로 바람을 불러들이곤 한다. 가을 바람은 지나간 여름과 다가올 겨울을 새김질 하기 위해 여름을 거스르듯 여름 날 격랑으로 불어대기도 하고 겨울을 기다릴 수 없다는 듯 재촉질로 칼 바람을 모방하기도 하면서 어수선하니 질서 없는 바람길이 가을 맞이에 나선 세상을 어지럽히고 우리네를 미혹하 듯 가을 속으로 끌고 가는 것을 즐기는 듯 보이기도 한다. 단풍이 물들고 바스락대며 가을 밟는 소리로 가득한 천지는 거대한 미술관이 된다. 단풍이 누리는 고독에도 시선이 간다. 고독은 한도를 넘은 욕망을 다스려 줄 뿐 아니라 자신이 행해야 할 바를 발견하도록 도와 주기도 한다. 소박한 사람들은 원하는 바가 적을 뿐 아니라 바램을 충족하는 일에도 수월하게 적응한다. 닿을 수 없는 욕망이 나대지 않으면 그것을 쟁취하거나 누리려는 욕심조차 존재하지 않는 법. 이에 단풍도 가을 고독을 그렇게 누리고 있음을 본다.
가을이면 누구나 시인이 되고 화가가 되어 진다. 가을을 노래하는 시를 쓰게 되고 시는 리듬을 싣고 아름다운 선율에 실린다. 화려한 색상으로 화폭에 담는 화가가 되어 마음껏 색감을 쏟아 붓고, 쏟아 붓는다. 가랑잎으로 바람에 흩날리는 소리까지 가락으로 승화시키는 가을이여. 가을 예술은 일맥상통하고 있었다. 시도 음악도 그림으로도 기다림과 그리움에서 영감을 얻고 예술로 승화되는 가을이여. 가을은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우리네 인생 길을 재연하고 있다. 은혜로 봄을 맞이 했고 뜨겁고 격렬한 사랑을 나누었고 그 사랑이 아름다운 결실을 맺고 겨울나기를 채비할 수 있는 흐름이 천상 인생 길을 보여주는 실상인 것을.
초록이 단풍으로 물들고 낙엽 되어 가랑잎으로 가을 들판을 누비고 다니는 것으로 끝이 아니라 역설하는 가랑잎의 몸부림을 본다. 끝은 마지막이나 끄트머리나, 궁극을 표현하는 아쉬운 말이 아닌 설렘의 뜻이 짙은 말이다. 가을이 마무리되면 가을 끝에 첫눈이 찾아주고, 사춘기 끄트머리에 첫사랑이 새겨지고, 지겨운 백수의 궁극엔 첫 출근이 기다리고 있다. 인생 길의 마지막도 아쉬움이 아닌 다른 미지의 공간으로 이사를 하는 기대감으로 채워지는 일이다. 모든 ‘끝’은 나라는 존재가 있었던 자리에서 ‘첫’자리로 데려다 놓고 떠나는 것이다. 성숙하고 깊은 경지에 이른 사람은 익은 벼 이삭처럼 머리를 숙이고 창조주 앞에 그리스도 없이는 전혀 무능한 존재임을 새삼 인정하게 해주는 가을이다. 아! 가을인가. 아! 가을인가. 가을이 살며시 찾아왔는데 어느 결에 가을도 깊어져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