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파산 후 두 번째
미국 내 사업 ‘종료 수순’
중 저가 공세·유동성 위기
2020년 주류 기업에 매각
한인 장도원·장진숙씨 부부가 지난 1984년 창업했던 글로벌 패션 브랜드 ‘포에버 21’이 결국 파산보호 신청을 했다. 과거 미국에서만 500여개 매장, 전 세계에 800개에 달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며 패스트 패션의 선두주자로 급부상했지만, 중국 온라인 샤핑몰의 저가공세를 이기지 못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 것이다.
한때 경제전문지 ‘포브스 100대 부자’ 순위오르는 등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과도 같았던 장씨 부부의 성공신화도 씁쓸하게 막을 내린지 오래다.
17일 월스트릿저널(WSJ)에 따르면 포에버21의 운영사(F21 OpCo)와 일부 자회사는 델라웨어주 파산법원에 파산보호, 챕터11 절차를 신청했다. 2019년 9월 연방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을 한 후 두 번째다. 연방 파산법 ‘챕터11’은 기업이 법원의 감독 아래 영업을 지속하면서 채무를 재조정하는 절차다.
다만 회사 측은 미국 내 사업을 질서 있게 종료할 예정이라며 일부 매장과 웹사이트는 계속 영업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이외 지역의 포에버21 매장은 다른 라이선스 업체가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파산보호 신청에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브래드 셀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모든 옵션을 평가했지만 ‘최소 기준 면제’를 활용해 저가 공세를 펼치는 외국 패스트패션 업체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지속 가능한 길을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비용 상승과 경제적 어려움이 고객 수요에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WSJ은 포에버21이 중국 온라인 샤핑몰 테무, 쉬인 등과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왔다고 전했다. 미국은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의 물품에는 ‘최소 기준 면제’를 적용해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중국 저가 온라인 샤핑몰 업체들은 이 제도를 십분 활용해 점유율을 넓혀 왔다.
포에버21이 파산보호 신청을 하면서 장씨 부부를 미국에서 가장 성공한 한인으로 등극하게 했던 신화도 세월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1981년 미국으로 이주한 장 씨 부부는 1984년 LA 한인타운에서 첫 매장을 차린 뒤 패스트 패션이란 개념을 업계에 도입하며 빠른 속도로 사업을 확장했다. 패스트 패션이란 제조업자가 제조·유통·판매를 모두 맡아 저가 상품을 2∼3주에 한 번씩 빠르게 공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포에버21은 자라, H&M, 유니클로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SPA 브랜드로 성장해 한때 미국 내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전 세계 50개국 800개 매장에서 4만5,000명의 종업원이 일하고 연매출 5조원을 올리는 패션의류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중국의 저가 공세에다 유동성 위기 등 온갖 악재가 겹쳐 2019년 챕터11 파산보호 신청을 했고, 2020년 2월 부동산 기업 사이먼 프라퍼티그룹 등이 이끄는 컨소시엄에 8,100만달러에 매각되기도 했다.
이들 부부는 한인 성공 신화의 상징과도 같았다. 이들은 2013년 경제주간지 LA비즈니스저널의 LA카운티 부자 순위에서 2013년 순자산 53억5,000만달러로 5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앞서 포브스가 발표한 ‘2011년 미국 400대 부자’ 순위에서 장씨 부부가 36억달러의 재산을 소유해 88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한편 컨소시엄을 인수하며 포에버 21을 경영해왔던 ‘캐털리스트 브랜즈’는 재정 건전성 회복과 잠재적 인수자를 찾기 위해 미국 내 200개 이상의 매장을 폐쇄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LA 본사 직원 358명을 비롯, 캘리포니아와 펜실베니아에서 거의 700명을 해고할 계획이다. 특히 LA 패션 디스트릭트에 위치한 포에버 21 본사에서는 경영진, 디자이너, 공급망 관리자, 제품 개발 및 매장 운영 담당자 등 총 358명이 해고 대상에 포함된 상태다.
<박홍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