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어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현상은 세계 경제를 뒤흔들어 놓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위기와 불안, 불확실의 시대를 맞고 있다. 일자리, 교육, 건강관리, 공급망 등을 비롯해 일하는 방식, 소비하는 방식 등 우리의 삶이 송두리째 바뀌고 있다. 전 세계가 영향을 주고받고 있기에 위기관리가 쉽지 않을뿐더러 미래를 내다보기도 어렵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최근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국제통화기금(IMF)통계를 인용해 “팬데믹으로 전 세계 경제가 한 달에 3,750억달러의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2년간 누적 손실은 12조 달러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고 덧붙였다.
팬데믹에 의한 전 세계 경제가 흔들리면서 개인의 경제와 재정 상황도 영향을 받고 있다.
코로나19 시대에 하나의 삶의 방식이 되어버린 ‘사회적 거리두기’는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실시되면서 감염 확산을 지연시키는 선기능이 있다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경제 활동이 올스톱하면서 경기 침체에 따른 대규모 실업자를 양산해 내는 동인으로 작용했다.
이로 인한 개인 차원의 재정 건전성도 흔들리기 시작했다. 개인 재정을 보호하고 회복하는 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근 USA투데이는 연방 소비자금융보호국(CFPB) 제시한 코로나19 시대의 재정 보호를 위한 조언을 보도한 내용을 요약해 정리했다.
상환기간 조정·이자 면제
구제 프로그램 알아봐야
실직이나 무급 휴직 경우
실업수당·구제책 점검을
“백신 접종” 개인정보 요구
스캠사기 빠지지 말아야
■청구서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라
실직이나 근무 시간이 줄어들어 수입이 급감한 경우 신용카드 사용액을 비롯해 매월 갚아야 할 상환금들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각종 청구서에 요구된 금액을 갚아야 할 재정적 의무를 다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 봉착할 수 있다.
연방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수입이 줄어 매월 상환해야 할 부채를 제때 갚지 못할 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관련 대출기관에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의 소득 상황을 공개하고 대출기관과 상환 방식을 놓고 협의해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상환금이나 상환 기간을 다시 조정하거나 지연 이자 면제 등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니면 대출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구제 프로그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대출기관과 협의 전에 조정해서 갚을 수 있는 월 상환금액, 조정된 상환 기간 등과 같은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자신의 전략을 미리 수립하는 게 도움이 된다.
특히 학자금 대출 상환과 관련해서 자신이 상환 연기나 상환금액의 축소 프로그램 수혜 자격이 있는지를 사전에 파악해야 한다.
주택담보대출 상환과 관련해서는 연방 주택도시개발부(HUD)의 관련 전문가의 도움을 청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신용카드 사용금에 대한 상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주택도시개발부의 카운셀러나 크레딧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매월 상환해야 하는 페이먼트를 제때 갚지 못하면 개인 신용에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후유증도 오래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조심해야 한다.
상환에 문제가 있다면 반드시 해당 기관과 즉시 협의해 조정에 들어가는 게 코로나19 시대 개인 재정을 보호하는 최선의 전략이다.
■실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라
코로나19 시대 개인 재정을 가장 크게 위협하는 것이 실직이나 무급 휴직과 같은 준 실직 상태다. 이는 곧바로 수입 감소로 이어져 정상적인 생활 유지와 함께 각종 부채 상환의 어려움으로 이끌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이젠 상식이 되었지만 일자리를 잃게 되면 주 노동개발부(EDD)에 실업수당을 청구하는 게 우선이다.
연방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5일 현재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110만6,000건(계절 조정치)으로 직전 주보다 13만5,000건 증가했다. 이는 로이터가 집계한 전문가 기대치 92만5,000건을 웃도는 수치여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실직 사태는 아직 진행 중이다.
특히 시니어 실업자일 경우에는 또 다른 지원 프로그램들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질 수도 있다.
전미고령화위원회(NCOA)의 웹사이트를 방문해 연방정부나 각 주정부에서 실시 중인 시니어 실업자 관련 구제 프로그램을 점검해 보는 것이 권고되고 있다.
■스캠 사기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라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스캠 사기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최근 경찰 보고서에 따르면 신종 스캠 사기로 ‘CDC 스캠’이 등장해 피해자를 양산하고 있다.
CDC(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 스캠은 전화 사기의 일종으로 CDC 직원이라고 속인 뒤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관련해 사전 예약을 받고 있다고 하면서 신용카드와 소셜번호를 빼내는 수법이 동원되고 있다.
유사한 스캠 사기로 코로나19 테스트와 관련해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코로나19와 관련된 스캠 사기용 ‘로보콜’(자동녹음전화)가 100만여건에 달하고 있다.
이메일이나 텍스트를 활용해 기금을 모금한다고 속여 첨부 문서를 클릭하도록 유도하고, 클릭할 경우 악성코드인 멀웨어를 심어 개인 정보를 빼내는 수법도 널리 통용되고 있는 스캠 사기의 하나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다 보니 자연스레 스캠 사기의 유혹에 노출되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코로나19와 관련해 허위 상품이나 정보를 가지고 접근하는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 SNS 등은 특히 주의가 요구된다.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연방식품의약국은 코로나19 치료 및 억제 제품이라고 과대 허위 광고를 한 7개 업체에 대해 경고 조치를 취한 바 있다.
FTC는 생소한 업체나 알지 못하는 개인이 보낸 링크와 첨부 파일을 절대 열어보지 말하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CDC를 사칭하는 이메일은 열어 보지 말고 반드시 휴지통으로 이동시켜 완전 삭제해야 한다.
CDC에 따르면 CDC는 이메일을 개인에게 보내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는 입장이다.
코로나19와 관련해 최신 정보를 얻으려면 CDC 웹사이트를 방문해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하나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유의해야 할 사항이 백신이다. 현재 백신은 개발 중에 있기 때문에 시중에서 구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백신을 제공한다거나 백신 접종 우선권을 준다든지, 아니면 기부금을 요구하는 내용의 전화나 이메일은 모두가 스캠 사기다. 무시해도 무방하다.
결코 이메일 보거나 전화를 받고 곧바로 돈을 보내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 <남상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