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엇을 하고 싶은지 생각한다
대학만 진학하면 모든 것이 해결될 것이라는 생각은 어리석다. 현실적으로 대학을 졸업했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며 어떻게 무슨 일을 하면서 살아야할 지에 대한 인생설계가 먼저 나와야한다. 가령 예를 들어 의사나 엔지니어, 변호사 등이 되고 싶다든가, 아니면 비영리기관의 디렉터 일을 할 것인지, 관심있는 분야의 일을 생각하면서 공부를 할 필요가 있다. 자신의 커리어를 생각하는 일은 대학진학보다 더 중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를 대학 입학을 위한 과정으로만 생각한다면 곤란하다.
대학교를 가기 위해서 고등학교를 다닌다는 생각보다는 고등학교 생활을 충분히 즐기면서 만끽하다 보니까 좋은 대학을 가게 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고등학교는 중학교 때와 달리 개인의 자유가 훨씬 더 많다. 물론 공부가 우선이지만, 이에 못지않게 고교과정에서 자신이 무엇을 해보고 싶은지를 미리 생각하고, 실제 입학해서는 이를 실천에 옮길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에는 많은 클럽들이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적당한 과외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많고, 또 자신이 원한다면 직접 새로운 것을 만들어 활동할 수도 있다.
▲자녀의 목소리를 듣는다
대학은 자녀가 가는 것이라고 하지만 부모의 의견과 조언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부모들은 자녀들의 적성과 능력을 토대로 진학을 어드바이스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자녀교육을 공부에만 초점을 맞추는 부모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물론 학교 공부와 학력평가 시험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제 막 고등학교 생활을 앞둔 자녀에게 이것들만을 강조하는 것은 부담만 가중시키게 된다. 고등학교는 여러 가지 변화와 변수가 존재한다.
물론 학교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9학년은 고교생활에 익숙해지는 시간이고, 본격적인 입시는 10학년부터 시작된다.
그런데 고등학교 생활 시작부터 자녀를 입시 쪽으로만 몰아붙이면 환경에 적응을 못하고, 자기 페이스도 잃게 돼 결국 공부와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가 실제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카운슬러를 만난다
우선 카운슬러를 만나보는 것이 알찬 고교생활을 진행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만약 가능하다면 자녀가 입학할 고교 카운슬러와 접촉을 통해 날짜를 잡고, 학교를 방문해 궁금한 것을 물어보는 것이 좋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립학교의 경우 카운슬러 한 명이 담당해야 하는 학생 수가 너무 많아 물리적으로 어려운 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어서 기회를 잡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고교에 입학한 뒤 곧바로 면담 날짜를 잡을 필요가 있다. 학생과 학부모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10학년이 돼서야 만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카운슬러는 자녀의 대학 입학을 향한 길을 안내해 주는 중요한 나침반 역할을 담당한다. 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그것은 현재의 상황이고, 앞으로 많은 변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차분하게 4년 플랜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데 중심을 둬야 한다.
만약 카운슬러를 만나기 쉽지 않다면 대입 전문 컨설팅업체의 문을 두들겨 볼 수도 있다.
▲대입 전문 컨설팅 업체를 이용할 때는 신중을 기한다
학교에서 해주지 못하는 것을 대입 전문 컨설팅 업체를 이용하면 학생이 대학을 지원할 때 상당 부분 보완이 된다. 그런데 학생의 실력이나 포트폴리오를 염두에 두지않고 그냥 전문가에게 맡기면 잘 되겠지 하는 생각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입 전문 컨설팅 업체도 많은 학생들을 고객으로 상대하기 때문에 자신이 해야할 일은 반드시 해야하고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있으면 학생의 상황에 맞게 학부모와 학생, 업체가 함께 계발해나가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대입 전문 컨설팅 업체에서 모든 것을 알아서 해줄 것이라는 생각은 오산이며 본인이 할 것은 정확하게 하면서 모자란 부분을 보충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