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출범후 조지아 각 분야 전망 분석>
오바마 케어 폐지 가입자 혼란. 불체자 추방,이민자 불안
보호무역 강화.수입관세 인상으로 소비자 물가 급등우려
최저임금인상.일자리 확대로 제조업·노동계는 '기대감'
2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과 함께 트럼프 시대가 시작된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물론 미 국내에서도 트럼프 시대를 바라보는 시각은 우려와 혼돈 그 자체다. 이같은 현상은 조지아도 예외가 아니다. AJC는 18일 지난해 대선에서 트럼프에게 승리를 안겨준 조지아주이지만 트럼프 시대의 개막을 바라보는 시각은 불안감과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다고 전했다. AJC의 '트럼프 시대' 전망을 소개한다.
▲권력 재편성=소니 퍼듀 전 주지사가 트럼프 내각의 농무장관 최종 후보 중 한 명으로 거론되고 있고 톰 라이스 연방하원의원은 이미 보건장관으로 내정돼 인사 청문회를 앞두고 있다. 이 중 특히 라이스 내정자가 예정대로 입각하게 되면 그의 후임자리를 놓고 치열한 각축전이 예상되면서 자연스럽게 조지아 정계의 권력 재편성이 예상된다.
▲의료 보건=불확실성이 가장 큰 분야 중 하나다. 이미 공언한 대로 트럼프가 오바마 케어의 폐지를 선언했기 때문이다. 이를 의식한 듯 네이선 딜 주지사도 18일 의회를 상대로 섣부른 관련 입법 활동은 자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현재 조지아에는 48만여명이 오바마 케어에 가입해 있고 1월말까지는 최소 수천명이 추가로 가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오바마 케어 폐지에 따른 충격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민=추방유예(DACA) 수혜자들을 비롯해 이민사회는 트럼프의 반이민정책을 불안한 눈으로 바라 보고 있다. DACA의 경우 연방의회에서 초당적 구제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불안감은 상존하고 있다. 퓨 리서치 센터에 따르면 조지아에는 DACA 수혜자가 2만8,000여명 그리고 불법이민자가 37만5,000여명이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군사•국방=희비가 엇갈리고 있는 분야다. 트럼프는 IS등 대 테러집단 척결을 목표로 군사력 강화를 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한 해 동안만 해도 640억 달러의 국방관련 사업이 진행됐고 13만7,000여명의 병력과 5만여 명의 관련 인력이 주둔해 있는 조지아는 트럼프 국방정책의 최우선 수혜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마리에타에 있는 록히드사의 F-35의 날개 조립 공장은 된서리를 맞을 가능성도 커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농업=트럼프의 최대 지지층이 농촌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역시 수혜 분야로 꼽힌다. 특히 푸드스탬프 프로그램과 농장에 대한 재정지원을 늘리는 팜빌(Farm Bill)이 시행될 경우 수혜폭은 더 커질 전망이다. 조지아는 인구 7명 중 1명이 농업관련 분야에 종사하고 있고 양계와 땅콩, 블르베리 수확량은 전국 최고다.
▲임금=기업가 출신인 트럼프는 임금이 너무 높다는 입장이었지만 최근에는 최저임금을 시간당 10달러 수준까지는 동의한 상태다. 공식 최저임금이 5.15달러로 전국에서도 최저 수준인 조지아 노동계는 트럼프의 취임으로 임금 인상을 기대하고 있다. 여기에 6주간의 유급 출산휴가를 주장한 트럼프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무역=보호무역이 강화되면서 수입이 많은 조지아 경제계는 오히려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수입 관세가 높아지면 수입품에 대한 소비자 가격도 올라 조지아 경제는 급격히 악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트럼프가 관세를 인상하겠다고 주장하는 물품들이 항공기와 자동차, 화학제품, 펄프제품 등 대부분 조지아의 주요 수입품목과 겹치고 있고 수입국가도 트럼프가 벼르고 있는 중국과 멕시코 비중이 높아 우려는 더욱 증폭되고 있다. 지난 해 조지아는 수입이 880억 달러, 수출은 385억 달러를 기록했다.
■제조업=‘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를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 수혜 분야다. 제조업을 중심으로 일자리를 늘리려는 트럼프 최우선 정책에 따라 조지아 경제계도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조지아의 제조업 인력은 현재 9%에 불과해 1950년와 60년의 3분의 1 수준에 비해 크게 약화된 상태다. 이우빈 기자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히스패닉계 노동자들.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불안감이 증폭되는 이민사회와는 달리 제조업계와 노동계는 일자리 창출과 최저임금 인상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