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의 반도체 생산 계획 연기로 이른바 ‘바이드노믹스’의 기저에 있는 기술 인력 부족 문제가 재차 부각되고 있다. 조 바이든 정부가 ‘반도체지원법’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을 통해 제시한 막대한 보조금에 힘입어 반도체, 전기자동차(EV), 차세대 배터리 등 첨단기술 투자가 잇따랐지만 정작 이를 제때 추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중 경제 패권 전쟁의 와중에 공급망 강화를 통한 글로벌 기업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전문 인력 부족이 ‘아킬레스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반도체에 이어 배터리 분야에도 이 같은 인력 부족 문제가 확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20일 애리조나 공장 가동이 늦춰져 바이든 정부의 주요 입법 성과에 큰 차질이 생겼을 뿐 아니라 차기 대통령 선거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해당 공장에 미국 사상 최대 외국인 투자 규모 수준인 400억달러가 투입되며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 계획에서 핵심 업적으로 꼽혀왔기 때문이다.
이에 TSMC가 현지 인력을 충원하는 대신 대만 인력 500여 명을 파견하는 쪽이 비용상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는 것이다.
닛케이는 “반도체 제조 장비 설치는 생산망 구축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이자 가동이 얼마나 빨리 시작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닛케이는 “TSMC가 대만에서 반도체 공장을 가동하기까지는 30개월도 걸리지 않는 반면 미국에서는 3년 이상이 필요할 수 있다”며 “새로운 나라에서 반도체 생산 능력을 구축하는 것 자체가 난관인 상황에서 미국의 인력 부족 문제가 이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술 인력난은 TSMC를 넘어 미국 노동시장 전체가 직면한 문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베이비붐 세대의 숙련공들이 대거 은퇴한 데다 최근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학생들 대부분은 정보기술(IT) 업계를 선호해 인력 수급 불균형이 심화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 애리조나주와 오하이오주에 반도체 복합단지를 건설하고 있는 인텔 역시 반도체 전문 인력은 물론 공장 건설 노동자를 모집하는 데도 난항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글로벌 컨설팅 기업 딜로이트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미국이 향후 수년간 7만~9만 명에 달하는 반도체 인력 부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맥킨지앤컴퍼니 역시 2030년까지 미국 반도체 산업이 30만 명 이상의 엔지니어와 9만 명 이상의 숙련공 부족 사태를 맞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달 초 전미제조업협회는 2030년까지 제조 업체 채용 수요가 400만 명에 달하겠지만 이 중 절반 이상인 210만 명을 구하는 데 실패할 것이라며 이로 인해 한 해 동안 1조 달러 규모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미국에서는 반도체 인재 양성 및 채용 전쟁이 한창이다. 인텔·TSMC 등은 주마다 공과대와의 산학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인력 확보에 나섰다.
미국 공급망 진출에 앞서 자국 인재를 양성해 현지에 파견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된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2030년까지 배터리 관련 인력 3만 명을 키우겠다는 방침을 올해 3월 구체화했다.
<장형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