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기간 남았는데
소비자 동의 없이 연장
탈퇴 어렵게 만들어
한인 홍모(51)씨는 최근 인터넷 보안 서비스 업체로부터 정기 회원 프로그램을 1년 더 자동 연장했다며 비용으로 109달러를 청구한다는 이메일을 받았다. 홍씨의 정기 회원 기간은 아직 1달이나 남아 있는 상황. 문제는 홍씨가 아직 정기 회원제를 자동 갱신할지를 결정하지 못했다. 홍씨는 “자동 갱신에 대한 의견을 묻지도 않고 일방적으로 자동 연장하겠다는 것에 기분은 나빴다”며 “해지하는 절차도 조금 복잡해 자동 연장을 놓고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소위 ‘구독경제’가 대세인 상황에서 자동으로 회원제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업계의 관행으로 굳어지면서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제한받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29일 LA 타임스는 비즈니스 전문 칼럼니스트 데이빗 래저러스의 칼럼을 싣고 회원제 자동 갱신 관행이 ‘회원제 경제’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잡으면서 회원의 의사는 무시된 채 회원제 유지 도구로 전락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회원제 자동 갱신은 구독 경제 시대에 하나의 일상이 될 정로 폭넓게 쓰이고 있는 업계의 관행이다.
아마존의 프라임 회원제도 자동 갱신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으며 피트니스 업계도, 신문이나 잡지 등 출판업계 역시 자동 갱신으로 회원들을 유지하고 있다.
자동 갱신 프로그램이 관행으로 자리잡은 데는 그 편리성 때문이다. 회원의 관점에서 보면 회원 연장 시기를 놓쳐 낭패를 줄여주는 편리한 제도다. 일정 부분 자동 갱신을 선호하는 층도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자동 갱신 프로그램은 회원인 소비자보다는 이를 이용하는 업체에 더 유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게 신문의 주장이다. 무엇보다 자동 회원 갱신 제도는 회원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재가입이 늦어지면서 발생하는 지연 비용 부담 역시 줄일 수 있다. 여기에 미래 회원 수를 가름할 수 있어 업체로서는 예상 수입을 전망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결국 회원제 자동 갱신의 승리자는 구독경제 업체에게 있고 회원제 회비는 일종의 공돈이 되는 셈이다.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회원 자동 연장 계약과 관련해 조건을 반드시 명확하고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는 법이 적용되고 있다. 회원의 동의를 얻어야 회원 자동 갱신을 할 수 있다.
주정부는 온라인을 통한 회원 탈퇴가 가능하도록 업체들에게 요구하고 있지만 많은 업체들이 일반 우편으로만 회원 연장 취소를 받고 있어 회원 탈퇴를 암암리에 막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칼럼에 따르면 회원 자동 갱신과 관련해 회원들의 탈퇴 의사를 물어보는 ‘옵트아웃’ 제도 도입이 절실하다. 현재 회원 연장한다는 ‘옵트인’ 방식을 버리자는 것이다.
<남상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