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투자도 역대급 늘려
삼성 698만·현대 328만달러
한국 기업들의 대미 로비 금액이 작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도체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공급망 재편 정책에 맞춰 대미 투자를 확대하고 새 행정부 출범에 대비하는 과정에서 정부와 의회를 상대할 일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22일 연방 상원에 접수된 기업별 로비 신고 내용을 보면 삼성그룹은 2024년 총 698만달러를 로비에 지출했다. 이는 삼성전자, 삼성반도체, 삼성SDI, 이매진 4개 기업을 합산한 금액이다.
로비 신고 내용을 집계하는 비영리단체 오픈시크릿에 따르면 삼성그룹의 로비액은 2021년 372만달러, 2022년 579만달러, 2023년 630만달러로 꾸준히 증가했다. 2024년이 역대 최대 금액이다.
삼성이 상원에 제출한 보고서를 보면 삼성의 로비는 지식재산권, 한미관계, 국방수권법, 외국기업의 대미 투자, 반도체법, 통신 정책, 공급망, 양자·다자 무역 정책, 사이버 보안, 인공지능(AI) 정책, 세제, 이민, 디지털 격차 등 광범위한 의제를 아울렀다.
SK그룹은 2024년 559만달러를 써 주요 대기업 집단 중 2위를 기록했다. 역대 최대 였던 2021년의 612만달러보다는 소폭 감소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2024년 328만달러를 썼다. 이는 현대차와 자회사인 기아차, 현대제철, 슈퍼넬,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비를 합친 금액이다.
현대차그룹의 로비액은 2021년 291만달러, 2022년 336만달러, 2023년 323만달러로 최근 몇 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로비 현안은 수소와 연료전지 정책 및 인프라, 전기차 인프라와 세제 혜택 정책, IRA의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환경보호청(EPA)의 배출가스 규제, 커넥티드 차량 등이다.
한화그룹은 2024년 총 391만달러를 로비에 썼다고 신고했다. 한화그룹의 대미 로비액이 현대차그룹을 제친 것은 2024년이 처음이다. 한화그룹이 미국 사업을 확장하면서 로비액이 2021년 64만달러, 2022년 90만달러, 2023년 158만달러로 빠르게 늘었다.
LG그룹은 LG전자가 2024년에 역대 최대인 90만달러를 로비에 썼지만, 다른 그룹에 비해 금액이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