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 초등생이 교실에서 총격을…미국선 처음 아니었다
미국뉴스 | 사건/사고 | 2023-01-24 08:33:466세 초등생이 교실에서 총격을


10세 이하 교내 총기 발사 사고 1999년 이후 11건
![여섯 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총격 사건이 발생한 미국 버지니아주 뉴포트뉴스 리치넥초등학교에 6일 경찰 차량이 주차돼 있다. [로이터=사진제공]](/files/upload/2023/01/24/25229616_89_4d23c8434ec4beb3b45a886fb4bec94c.jpg)
#1. 2000년 2월 미국 미시간주(州) 플린트 외곽 뷰엘초등학교 1학년 교실. 6세 소년이 같은 반에 있던 한 소녀에게 다가가 가슴에 총을 쐈다. 역시 6세에 불과했던 피해자 케일라 롤랜드는 얼마 지나지 않아 숨을 거뒀다. 이 소년은 종종 머무르던 약국에서 신발 상자에 보관된 반자동 권총을 자주 갖고 놀았고, 사건 당일 학교에 총기를 가져갔다.
#2. 그로부터 17년이 지난 2017년 5월 루이지애나주 남부 모스블러프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는 다른 총기 사건이 발생했다. 집 안에 있던 형의 가방에서 몰래 총을 가져온 한 남학생의 가방에서 총이 빠지면서 교실 바닥에 떨어졌다. 한 여학생이 이 권총을 집어 들었을 때 38구경 총알이 발사됐다. 복부에 총을 맞은 게이지 맥키는 피를 흘리며 쓰러졌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맥키의 나이는 겨우 일곱 살이었다.
#3. 텍사스주 휴스턴에선 6세 소년이, 미시간주 시카고에선 8세 소년이 집에서 가져온 총 때문에 학교 안에서 총기 사고의 피해자가 됐다. 1999년 이후만 따져도 33만1,000명 넘는 학생들이 미국 학교에서 총기 폭력을 경험했다.
지난 6일 버지니아주 남부 항구도시 뉴포트뉴스 리치넥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여섯 살 학생의 총격 사건이 미국 사회에 충격을 던졌다. 하지만 이 소년은 초등학교에서 장전된 총으로 대혼란을 일으킨 유일한 어린아이가 아니라고 미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1학년에 재학 중이던 이 학생은 25세 교사가 총기를 압수하려 하자 총을 쐈다. 손과 왼쪽 가슴에 총을 맞은 교사는 다행히 목숨을 건졌다. 학생은 엄마가 구매한 권총을 가방에 넣어 학교에 가져온 것으로 조사됐다. 버지니아 주법은 ‘어린이가 접근할 수 없는 곳에 장전된 총기를 보관해야 한다’고 돼 있지만 유명무실한 조항이라는 지적이 많다.
WP 분석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미국에선 460만 명의 어린이가 장전되고 잠금장치가 해제된 총기를 가진 가정에서 살고 있었다. 미국 23개 주에서 총기 안전 보관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학교로 총기를 가져오는 어린 학생들은 여전히 존재한다.
1999년 이후 미국 초중고(K~12학년)에서 있었던 총격 사건의 69%는 고등학교에서 발생했다. 그러나 최소 11건의 경우 방아쇠를 당긴 사람은 10세를 넘지 않았다. 이 중 9건에서 아이들은 장전된 총을 집에서 가져왔다. 근원적 해결책인 총기 보유 및 휴대 제한은 미국에서 실현될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다음 달 13세가 되는 맥키는 네 번의 수술을 견뎌냈지만 여전히 절뚝거리며 걷는다. 통증은 지속되고, 심리 상담에도 참석하지만 때때로 억제할 수 없는 분노와 싸우고 있다. 권총을 잘못 만졌던 여학생 역시 죄책감과 외상 후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이 어린 학생들을 고통에 떨게 한 어른들은 여전히 ‘총기 보유가 자유로운 나라’ 미국의 위대함만 얘기하고 있다. 버지니아 6세 교실 총격 사건도 미국에선 이미 이슈가 아니다.
<워싱턴=정상원 특파원 >

‘서울의 봄’ 평일에도 흥행질주… ‘분노의 심박수 인증' 챌린지도 줄이어
영화 ‘서울의 봄’의 한 장면/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연합> 최근 극장가에서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김성수 감독의 ‘서울의 봄’이 평일에도 압도적인 1위로 신작들

조지아 최초 한인 시장 후보 존 박의 공약은
언스트 전 시장 유산 '계승 vs 뒤집기'시청/시티센터 건립 놓고 치열한 공방 조지아주 최초의 한인 시장에 도전하는 존 박 후보가 12월 5일 결선을 앞두고 경쟁자인 로렌 키퍼 후

미국내 한인 불체자수 26년래 최저
퓨리서치센터 발표2021년 현재 10만명출신국가별 16번째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불법체류자수가 26년래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최근 발표한 미국

2030 젊은층도 고혈압… 원인은 ‘비만’과 ‘스트레스’
‘침묵의 살인자’… 잘 인지 못하고 방치 전 세계 유병률 1위인 고혈압은 심장·뇌· 콩팥 관련한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킨다. 특히 기온이 떨어지면 근육·혈관이 체온 유지를 위해 수축

베트남전 참전 한인 미 보훈 의료 ‘지연’
법안 바이든 서명불구 베트남전에 참전해 자유 진영을 위해 싸웠던 미국 내 한인 시민권자들에게도 미군 참전용사들과 동일한 의료 혜택을 제공하는 내용의 ‘미주 한인 베트남전 참전용사

“행복하려면 120만 달러는 있어야”
미국 성인들 설문조사 흔히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없다고 말하지만 최근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다고 응답했고 평균적으로 120만 달러가 필요하다

켄터키주 2세 여아, 최연소 멘사 회원 기록 경신
'최연소 멘사 회원' 기록을 경신한 미국 켄터키주 아이슬라 맥냅[기네스 세계 기록 웹사이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미국 켄터키주의 여자 어린이가 두 살의 나이에 '지능지수(I
한국내 외국인 보유 토지 미국인이 절반 이상 소유
주택 소유는 중국 이어 2위 한국에서 외국인이 보유하고 있는 토지 가운데 절반 이상은 미국 국적자가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으로 외

“딜러십 무관심·무능… 전기차 판매 확대 최대의 적”
서비스·부품 수입 낮아…개솔린 차량판매 선호 개솔린 차량에 비해 전기차 판매에 따른 부가 수입이 적다는 이유로 딜러십들이 전기차 판매를 기피하면서 전기차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바이든, 한국기업 방문 ‘바이드노믹스’ 홍보
조 바이든 대통령이 29일 콜로라도주 푸에블로의 CS윈드 공장을 방문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29일 콜로라도주 푸에블로의 CS윈드 공장을 방문해 자신의 경제 정책 ‘바이드노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