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전 격화에 농산물·비료 공급망 파괴돼 가격 급등
전문가 "위기 올지말지가 아니라 얼마나 크게 닥칠지가 문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 세계 '식량 위기'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생산량 급감이 불가피한 상황에, 다른 식량 생산국은 자국 빗장을 걸어 잠그고 있어 위기에 기름을 붓고 있다.
CNN은 러시아·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이 벌어진 이후 농산물 가격이 치솟고 있다고 12일 보도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는 5월물 연질 적동소맥(고품질 밀) 가격이 앞서 6거래일 동안 매일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상승세가 주춤해졌지만, 이런 높은 가격 수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국제 밀 생산량의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데, 곧 다가오는 밀 파종 시기에 제대로 농사를 짓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우크라이나에서 농부들은 총을 들거나 해외로 피란을 떠나 인력 부족이 심각하다. 러시아 군은 흑해 항구도시를 점령했다. 통상 흑해를 통해 들여오는 농사 장비와 비료 등을 가지러 가기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식량 부족이 가시화하자 각국은 자국 이익을 먼저 내세우고 있다.
이집트는 밀, 밀가루, 콩 등의 수출을 금지했다.
세계 최대 인구 밀집지역 중 하나인 아랍 지역의 식량 비축량이 충분치 않다는 우려가 나온다는 이유다.
인도네시아는 팜유 수출 제한을 강화했다. 팜유는 식용으로도 쓰이고 화장품·초콜릿 등의 원료로도 쓰인다. 인도네시아가 최대 수출국이다.
앞서 헝가리 농무부는 모든 곡물 수출을 즉각 중단하기로 했고, 주요 곡물 수출국인 아르헨티나도 밀의 자국 내 공급 보장하겠다며 '가격 안정 제도' 마련에 나섰다.
최대 밀가루 수출국인 터키도 곡물 수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나섰고 몰도바는 이달부터 밀, 옥수수, 설탕 수출을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설상가상으로 비료 생산도 차질이 예상된다.
무엇보다 러시아가 비료의 주요 생산국이다.
전쟁으로 러시아가 강력한 국제 제재에 직면하면서, 각국 기업은 러시아와의 거래를 꺼리고 있다.
치솟은 가스 가격도 문제다. 요소 비료 생산에는 가스가 대량으로 필요하지만, 가스 가격이 치솟아 경제성이 떨어지면서 기업들은 생산량을 늘리지 않고 있다.
요소 화합물 비료 가격은 최근 t당 1천 달러 내외에 거래되고 있는데, 이는 작년 초의 4배에 달한다.
한 비료 생산회사의 CEO는 CNN에 "식량 위기가 오느냐의 문제가 아니다. 얼마나 거대한 위기가 찾아오느냐가 문제"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