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기반 재건’ 천명
관세 부과·약달러 정책
한국 등 국제사회가 주목한 미 대선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4년 만에 귀환으로 끝이 났다.‘미국 우선주의’와 ‘힘에 의한 평화’를 내세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로 미국의 대외 경제 정책에서도 바이든 행정부 대비 대대적 변화가 예고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1기 행정부에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를 외치며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앞세웠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기조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소식에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등 6일 금융 시장은 크게 출렁했다.
이날 뉴욕 증시 다우 지수는 전장보다 1,508.05포인트(3.57%) 오른 43,729.93에 거래를 마치는 등 2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를 기록했다. 트럼프가 ‘프로 비즈니스’ 정책을 펼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트럼프 수혜자산’으로 꼽히는 비트코인도 사상 처음으로 7만6,000달러선을 돌파하면서 새 역사를 썼다.
우선 무역 면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관세 확대를 무기로 하는 보호주의 기조를 대폭 강화해 미국의 국내 제조업 기반 재건을 도모할 것임을 공약해왔다. 백악관 입성 후 이를 본격 추진할 경우 미국과 한미자유무역협정(FTA)으로 연결된 한국이나 유럽연합(EU), 일본 등과의 파열음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가 출신인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외교의 핵심축인 동맹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가치나 노선보다는 돈 문제를 우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대중 정책을 뽑는다. 트럼프 당선인이 강조하는 ‘미국 우선주의’도 사실상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
1기 행정부 시기인 지난 2018년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던 트럼프 당선인은 2기 행정부에서는 더욱 노골적으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다. 그는 선거 기간 모든 수입품에 10~20%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는 최대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주장했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의 닉 마로 글로벌 무역 책임자는 “관세를 선호하는 트럼프의 위험한 측면을 중국 등 국가들이 보고만 있지는 않을 것”이라며 “무역 파트너들이 보복 관세나 기타 비관세 조치 등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중국에 대한 관세 정책은 무역 보복으로 이어져 미국 소비자들의 재정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윌리엄 라인쉬 국제 비즈니스 수석도 “외국 부품과 구성 요소에 의존하는 미국 제조업체들은 이중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며 “트럼프의 관세로 인해 투입 비용이 더 비싸지고, 보복 관세로 인해 수출 제품 가격도 더 비싸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월가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내세우는 감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의 소비 부양, 수입 물가 상승 등 인플레이션이 재발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연방정부 재정 지출이 늘면서 연방정부 재정적자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도 트럼프발 ‘폭풍’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국이 가장 먼저 느낄 부문은 원·달러 환율이다. 실제로 6일 트럼드 당선 소식이 반영된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7개월만에 1,400원을 넘어섰다. 이날 원·달러 전일대비 25.4원 뛴 1,404.0원을 기록하며 7개월 만에 다시 1,400원을 돌파했다.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이 연말까지 1.420원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원화절상 압력이 높아질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에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1.32% 상승한 105.27을 나타내고 있다.
강달러는 수출을 하는 한국 기업들에게는 가격 경쟁력을 부여하지만 급격한 원화 약세는 해외에서 원유와 원자재를 수입해야하는 많은 한국 기업들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재집권하면 바이든 정부서 급증한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고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의 재협상을 통한 개정도 요구할 것이란 관측까지 제기된다.
<조환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