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진호 감독 신작
고학력 전문직에 고소득을 올리는 이른바 상류층 엘리트라면 평균 이상의 정신적 소양을 가지고 살 것으로 기대되곤 한다.
그러나 극단적인 사건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실상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들의 삶이 얼마나 취약한 도덕적 기반 위에 있는지 보여줄 아킬레스건으로 자녀 문제만 한 게 또 있을까.
자녀의 학교폭력을 비호하려고 온갖 수단을 가리지 않은 상류층 부모의 낯부끄러운 몇몇 사례는 전문직이 되는 데 필요한 지적 수양이란 것도 자녀 문제 앞에선 얼마나 추악해질 수 있는지 여과 없이 보여주지 않았던가.
허진호 감독의 신작 '보통의 가족'은 겉으로 보기엔 남부러울 게 없는 상류층의 두 가정이 자녀 문제로 민낯을 드러내는 과정을 서늘하게 그려낸 심리 스릴러다.
'보통의 가족'은 변호사 재완(설경구 분)과 그의 동생인 소아과 의사 재규(장동건), 그리고 재완의 아내 지수(수현)와 재규의 아내 연경(김희애)의 이야기다.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고학력 전문직인 형제의 삶은 흠 잡을 데 없이 모범적이다. 재완은 차가운 법 기술자처럼 보이긴 해도 법률가답게 합리적이고, 재규는 환자의 고통에 공감할 줄 아는 따뜻한 의사다.
재완과 재규에겐 각각 청소년인 딸과 아들이 있다. 이들이 뜻하지 않게 무서운 범죄를 저지르고, 부모가 이 사실을 알게 되면서 두 가정은 위기를 맞는다.
경찰이 범죄자를 못 잡고 헤매는 상황은 재완과 재규, 지수와 연경을 시험대에 세운다. 네 사람은 함께 식사하는 장면에서 마치 토해내듯 민낯을 드러낸다.
영화의 전반부는 이들 넷이 어떤 사람인지 보여주고, 후반부는 자녀 문제에 직면한 이들의 갈등과 선택을 그려낸다. 이야기의 구도가 그리 복잡하지 않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감을 이어가면서 지루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배우들이 펼치는 뛰어난 연기의 향연은 관객을 이야기 속으로 빨아들인다. 베테랑 배우인 설경구, 장동건, 김희애의 연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재미가 쏠쏠하고, 수현의 연기도 이들에게 뒤지지 않는다.
카메라는 네 배우의 표정 연기가 가진 힘을 극대화하기라도 하듯 이들의 얼굴을 끊임없이 클로즈업으로 포착한다.
스릴러의 긴장감을 늦추지 않으면서도 중간중간 관객의 웃음을 불러일으키는 것도 '보통의 가족'의 매력이다. 예상치 못한 장면에서 웃음을 끌어내는 김희애의 연기가 돋보인다.
한국인이 선망하는 대표적인 직업인 변호사와 의사 가정의 붕괴를 그린 '보통의 가족'은 우리 사회에 대한 통렬한 풍자로 느껴지기도 한다.
법은 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것이지만, 정의는 결국 법을 해석하는 전문지식과 권한을 쥔 사람에게 기울고 마는 게 아니냐는 질문도 이 영화는 품고 있다.
단순하면서도 늘어지지 않고 탄탄한 이야기, 배우들의 실감 나는 연기, 우리 사회의 핵심을 찌르는 문제의식은 '보통의 가족'을 매력적인 작품으로 만들어내지만, 그 서사가 얼마나 새로운 것인지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시놉시스에 나온 기본 구도를 알고 영화를 본 관객이라면 이야기가 예상을 크게 뛰어넘지는 않는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을 것 같다.
'보통의 가족'은 네덜란드 작가 헤르만 코흐의 베스트셀러 '더 디너'를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북미 지역 최대 영화제로 꼽히는 제48회 토론토국제영화제를 비롯한 여러 국제영화제에 초청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허 감독은 '8월의 크리스마스'(1998), '봄날은 간다'(2001), '덕혜옹주'(2016) 등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영화로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연출가다. 천만 영화 '서울의 봄'(2023)의 제작사 하이브미디어코프가 '보통의 가족'을 제작했다.
10월 9일 개봉. 109분. 15세 관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