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마비·언어장애 후유증 심해
60~70대 많지만 젊은층도 주의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뇌졸중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뇌졸중은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 혈관이 터져 뇌가 손상되면 ‘뇌출혈’로 분류된다. 전체 뇌졸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뇌경색의 가장 큰 원인은 혈관 벽이 두껍고 딱딱해지는 동맥경화다. 고혈압 환자가 뇌졸중에 걸릴 확률은 정상인보다 4~5배 높다고 알려졌다.
동맥경화로 혈관이 좁아지면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고, 혈액 속 혈소판이 활성화돼 핏덩어리인 혈전이 생긴다. 이 혈전이 떨어져서 뇌혈관을 막으면 뇌졸중이 오고, 산소공급이 안 돼 뇌손상이 진행된다. 따라서 동맥경화가 생기기 전에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방세동, 판막증과 같은 심장질환도 뇌졸중의 심각한 위험인자로 알려졌다. 심방세동이 있으면 뇌졸중 발생률이 △50대 4배 △60대 2.6배 △70대 3.3배 △80대 4.5배로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적절한 항응고제 치료가 필요하다.
뇌졸중은 55세 이후 발병률이 높아진다. 나이를 10살 먹을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도 약 2배씩 증가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뇌졸중 진료 환자는 60만 명을 넘었는데, 60~70대가 3분의 1을 차지했다. 단, 젊다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 뇌졸중의 주요 원인인 동맥경화증은 30~40대부터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이다. 환자가 알아차릴 수 있는 전조증상은 동맥의 직경이 정상보다 50% 이상 좁아진 뒤에야 나타난다. 뇌졸중 증세가 갑자기 발생한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수 년 혹은 수십 년 전부터 원인 질환이 심해진 결과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경동맥 초음파 등을 통해 동맥경화 발생 여부를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의학의 발전으로 뇌졸중 발병 직후 6시간 내에 막힌 혈관을 뚫어주면 뇌손상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시간이 지연되면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치료가 중요하다. 뇌졸중은 △갑자기 심한 두통이 생겼거나 △어지럽고 자꾸 넘어지거나 △세상 반쪽이 잘 안보이거나 △한쪽 팔과 다리가 저려오거나 △말을 못하고 발음이 어눌해지는 등의 증상을 통해 자가진단이 가능하다. 대한뇌졸중학회가 개발한 ‘이웃손발(이 하고 웃기, 손들기, 발음하기)’ 식별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인 또는 다른 사람의 뇌졸중을 식별했을 땐 환자를 적절한 치료가 가능한 병원 응급실로 빠르게 후송해야 한다. 마비나 감각 저하가 있으면 관절 및 피부 손상, 흡인성 폐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환자를 편안한 곳에 눕혀 압박되는 곳을 풀어주고, 환자가 구토를 할 경우 고개를 옆으로 돌려 이물질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게 해야 한다.
뇌졸중 환자는 대부분 지속적인 언어장애, 기능마비 등의 문제를 겪는다. 기대수명도 4~5년 가량 짧아진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금연하고 꾸준히 운동하며 혈관 건강에 좋은 습관을 들여야 한다. 작은 습관 하나를 바꾸는 것 만으로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다.
<김범준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