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월 5.6일·한국 1.6일
한국 직장인의 재택근무 일수가 세계 34개국 중 가장 적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각국의 주거 환경 및 밀도, 코로나19 봉쇄 기간, 직장 문화가 재택근무 활성화 정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미국은 영국과 함께 가장 많았다.
뉴욕타임스(NYT)는 4일 스탠퍼드대, 멕시코 기술자치대(ITAM), 독일 Ifo 연구소가 4~5월 34개국 직장인 4만2,000여명을 대상으로 재택근무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보도했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 직장인의 월 평균 재택근무 일수는 1.6일로 조사 대상 국가들 중 가장 적었다. 일본이 2일, 대만이 2.8일, 중국이 3.2일로 아시아 국가들이 재택근무를 덜 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영어권 국가들은 재택근무 일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캐나다는 6.8일로 34개국 중 재택근무를 가장 많이 했고, 영국은 6일, 미국은 5.6일, 호주는 5.2일을 기록했다. 유럽에서는 독일, 핀란드, 네덜란드 직장인들이 월평균 4일 재택근무를 했다.
연구진은 국가마다 다른 주거 환경이 엔데믹 이후 직장인들의 사무실 출근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미국은 사람들이 인구밀도가 낮은 교외 지역의 큰 집에서 사는 경우가 많아 사무실 복귀가 더뎠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최근 주 3회 사무실 출근을 의무화했는데, 직원들 중 일부는 거주지를 옮기기 어렵다며 사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아시아 국가에서는 작은 아파트를 여러 가족 구성원이 공유하기 때문에 재택근무 환경이 비교적 열악하다. 호세 마리아 바레로 ITAM 이코노미스트는 “대표적으로 일본 도쿄의 아파트들은 대부분 좁은 편”이라며 “방이 하나밖에 없는 아파트에서 파트너와 함께 살고 있다면 집에서 일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고 말했다.
또 연구진은 코로나19 국면에서 각국이 얼마나 오래 봉쇄 정책을 펼쳤는지도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바레로 이코노미스트는 “상당수의 아시아 국가들이 봉쇄 없이도 코로나19 유행을 잘 통제했다”며 수개월간 집에서 일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