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생 인류가 아프리카 남부에서 출현했으며, 기후변화 때문에 ‘대이동’을 시작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간 과학계에선 현생 인류의 발상지와 대이동 원인을 두고 명확한 답을 내리지 못했다. 이번 연구가 해당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연구단장과 뉴사우스웨일즈대, 호주 가반의학연구소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이 현생 인류의 가장 오래된 혈통이 20만년 전 아프리카 칼라하리 지역에서 출현했고, 13만년 전 기후변화로 이주를 시작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28일 발표했다. 칼라하리는 아프리카 남부 나미비아와 짐바브웨 국경에 있는 보츠와나 북부 지역을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국제학술지 ‘네이처’ 29일자에 실렸다.
연구진은 우선 남아프리카에 사는 현생 인류의 직계 후손 198명을 찾아내 이들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DNA) 정보를 분석했다. 세포 내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DNA는 할머니에게서 어머니로, 어머니에게서 딸로 유전되기 때문에 모계 조상을 추적하는 실마리로 쓰인다.
연구진은 현생 인류가 예전 추정치(17만5,000년~15만년 전)보다 앞선 20만년 전 아프리카 남부인 칼라하리에서 출현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번 연구로 현생 인류의 발상지가 아프리카 동부가 아닌 남부라는 데 무게가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인류 이동을 두고도 현생 인류가 건조해진 기후를 피해 이주했다는 주장과 새로 만들어진 녹지를 따라 사냥·채집을 하면서 이동했다는 가설이 맞서왔는데, 이번 연구 결과는 ‘녹지 이동설’에 손을 들어줬다. <변태섭 기자>
연구진이 고대 기후를 컴퓨터 모델로 분석했더니 지구 자전축 방향이 바뀌면서 남반구의 여름 일사량과 강우량이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약 13만년 전 아프리카 북동쪽(잠비아·탄자니아 지역)과 약 11만년 전 남서쪽(나미비아·남아프리카공화국 지역)으로 녹지가 형성돼 이주가 가능한 환경이 갖춰졌다. 팀머만 단장은 “숲이 생긴 시점과 유전학적으로 분석한 이주 시기·경로가 일치한다”며 “현생 인류가 기후변화로 생긴 녹지를 따라 이주했다는 뜻”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