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애틀랜타
이규 레스토랑
엘리트 학원
첫광고

[시와 수필] '사랑이 내게 온날 나는 다시 태어났습니다'

지역뉴스 | 외부 칼럼 | 2024-12-16 09:48:00

시와 수필,박경자(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구양숙 부동산표정원 융자미국 크래딧 교정

박경자(전 숙명여대 미주총동문회장)

 

내겐 당신이 있습니다. 내 부족함을 채워주는 사람--

당신의 사랑이  쓰러지는 나를 일으킵니다.

내게 용기, 위로, 소망을 주는 당신.

내가 나를 버려도 나를 포기하지 않는 당신.

내 전생에  무슨 덕을 쌓았는지, 나는 정말  당신과 함께 할 자격이 없는데

내 옆에 당신을 두신 신에게  감사합니다.

나를 사랑하는이가 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

그것이 내 삶의 가장 커다란 힘입니다 .   ( 장영희의 영미 산책 -- ''생일'' 중에서 )

 

우리 삶에서 이런 사랑을 가진 사람은 세상에서 가장 복받은 사람 아닐까… 영문학자 장영희 교수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저물어 간 해 그녀가 남기고 간 저서 등을 어루만지며 그녀가  남기고 간  문학의 혼이 그리움 되어 내 영혼을 흔든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자’ 이 책은 저의 운명과는 상관없이  아름다울수 밖에 없는 운명을  가진 책입니다.  척수암으로 사경을 헤매면서  장영희 교수가  남긴 말이다.

영시 번역을 해 세상에 내놓으며 영문학사에 빛나는 기라성 같은 시인들의 아름다움을  드러 낸 영시를 읽으며 진한 아픔, 기쁨을  느끼며 무색채인  세상에 무지개가 뜨듯이 황홀한 느낌 잊혀진 꿈이 되살아나게 하는 ‘희노애락’을 느끼게 하는 마음이란 게 있었구나… ‘이봐요! 내가 여기 있잖아요’ 옆사람과 눈 맞추고 이야기하고 싶은 감동, ‘시인은 바람에도 색깔을 칠하는 사람입니다.’  그녀의 영시 해설을 담은  독자들을  감동케한다. 시인은 머리가 폭발해버린 듯한 느낌이 들 때 시를 쓴다고 합니다. ‘나의 노래를 만드는 것은 내가 아니라  나의 심장입니다’ 시인은 말합니다.

나같이 부족한 사람은 시인들이 남기고 간 시를  읽고 소개하는 것 만으로도  감격이며 가슴 벅찹니다. 왜 장영희 교수는 그리 일찍 세상을 떠났을까… 척수암 발생으로 투병 중에도 ‘이 아침, 축복의 꽃비가 낙엽 기다리는 오솔 길에서’ 그녀의 칼럼 제목은 시적이고 아름다움이었습니다. 새로운 생명의 힘을 북돋아 주는 ‘생명’은 새 생명을 내 영혼 깊숙이  맞이하는  마음의 용기였다고  말한다.

‘내 생에 단 한 번’ 등 수많은 책을 쓴 장영희 교수는 과연 누구였는가… 서강대 교수이며, 영문학자 장영록 교수님의 딸인  장영희 교수는  시란 마음을 읽으면 쉽고,  결국 시는 우리의 삶 자체라고 말한다. 시는 아프고 힘든 것도 기쁨과 감사로 보듬어 주는  따뜻한 마음 한 조각이며  우리의 삶 그 자체라 말합니다. 자신의 글보다 많은  시인들의 시를  우리 곁에 가까이 두고  읽고싶은  두손을 활짝펴서 남김 없이 주는 사랑이라고 말합니다.

소아바비로 평생 목발을 짚고 살아야 하는 그녀는 하도 많이 웃어 얼굴에 깊은 주름 살이 생길 정도 였다니 무엇이 그녀의 인생철학 이었을까… 그녀의 문학은 깊은 고전에 심취한 현인의 깨달음을 을 지니고 초연한 정신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인생 철학으로 대범한 풍자적인 초연한 정신으로 인생을 살아가려는 의지에 있다. 불굴의 아픔을 딛고 일어나라, 일어나라  살아야한다고 외치며  꿈꾸며 살아 온 그녀의 심원한 문학, 위대한 철학이 문학적인 사상 속에 숨겨져있다. 인간의 진정한 위대함은 그 어떤 사상이나 이론이 아닌 ‘사랑’이라 시인은  말합니다. 문학은 ‘어떻게 서로 사랑하며 사는가’에 귀착한다 말한다. 침대 머리맡에 두고 읽고 또 읽어도 싫지 않는 그녀의 문학 세계 속에는  웃음, 눈물이 섞여 짜여진   깊은 영혼의 모음들이 시인 장영희 그녀의 문학, 철학  사상은  깨어 있는 내 영혼의 샘물이다. 사랑 없어 목마르고 전쟁이 끝이 없는 이 풍진 세상에 고 장영희 시인의 맑은 웃음이  저물어가는 한 해에  왜 이리 그리운 걸까…

 

어제를 동여맨 편지를 받았다. 

 

늘 그대 뒤를 따르던

길 문득 사라지고

길 아닌 것들도 사라지고ㅡㅡ

사랑한다

사랑한다 

추위 환한 저녁 하늘

찬찬히 깨어 진

글들이 보인다 

성인 눈 내리고

땅위에 내려 앉지 못하고 

눈뜨고 한없이 떠다니는 몇송이 눈

내 조그만 사랑 노래

(황동규 시인)

 

댓글 0

의견쓰기::상업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0/100자를 넘길 수 없습니다.)

[수필] 집으로 가는 길
[수필] 집으로 가는 길

김혜경(사랑의 어머니회 회장·아도니스 양로원 원장) 교육장에 들어서고 나서야 콧등 위에 안경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필이면 이 중요한 날에 안경을 차에다 두고 오다니. 몸은 이

[데스크의 창] 정의에도 ‘중립’이 있을까
[데스크의 창] 정의에도 ‘중립’이 있을까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는 하버드 대학교 교수이자 정치철학자인 마이클 샌델이 1980년부터 진행한 수업 내용을 토

[뉴스의 현장] 먹고 사는 문제, 관세로 뒤흔들리다
[뉴스의 현장] 먹고 사는 문제, 관세로 뒤흔들리다

성장기 아이를 키우고 있는 기자는 요즘 장을 보러 갈 때마다 심난하다. 외식비가 치솟아 끼니의 대부분을 직접 해 먹고 있는 탓에, 장 보는 일은 우리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일이자,

[화요 칼럼] 행복의 조건
[화요 칼럼] 행복의 조건

『행복의 조건』 의 저자 조지 베일런트(George Eman Vaillant)는 미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연구자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했고 성인 발달 연구소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메디케어 파트 D 의 보조금 (Extra Help)
[전문가 칼럼] 보험, 그것이 알고 싶다- 메디케어 파트 D 의 보조금 (Extra Help)

최선호 보험전문인 세상은 공평한가? 아니면 불공평할까? 결론은 대개 불공평한 세상으로 결론이 나는 것 같다. 유토피아와 같은 이상향에서는 공평성이 제대로 발휘되겠지만, 현실 사회에

[애틀랜타 칼럼] 바르게 보는 법을 배우자

이용희 목사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눈으로 보고 느끼는 것은 항상 마음의 판단이 있게 마련입니다. 때문에 우리는 자신이 보는 것을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해

[내 마음의 시] 아름다운 산책길
[내 마음의 시] 아름다운 산책길

써니 권(애틀란타 문학회 회원) 새벽에공원산책하면아침 이슬 영롱한 아름다움모든 생물들 깊은 잠에서깨어나 기지개 활짝 펴네. 오늘은토끼풀이 나를 반기네혹시 네잎 클로버 찾을까그러나

[법률칼럼] 법의 그림자 속 숨겨진 이야기3화

케빈 김 법무사  창고의 진실과 법의 판결“진실은 깊은 곳에 숨겨져 있다. 법은 그것을 밝혀내는 열쇠다.”로펌에서 일하며 깨달은 진리다.제니와 나는 동건의 유산을 둘러싼 싸움에서

[벌레박사 칼럼] 독거미 퇴치하는 법

스파이더맨 영화를 보면 스파이더맨이 발사하는 거미줄은 악당을 무찌르거나 스파이더맨을 자유롭게 이동시켜주는 매력적인 것으로 보여진다.그러나 현실에서의 스파이더, 거미는 그렇지 않다.

[행복한 아침] 철들 무렵

김정자(시인·수필가)     우연히 오랜 친분이 있는 분들을 음식점에서 만나게 되었다. 반가움에 두 손을 잡고 어린 아이처럼 깡충대며 어쩔 줄 몰라 하다가 문득 ‘나 이제 철 들었

이상무가 간다 yotube 채널

[애틀랜타 뉴스] 2025년 4월 2일(수)#아틀란타이상무#아틀란타지역소식#한국일보아틀란타#조지아소식#아틀란타로컬#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아틀란타한인회비대위#헌재탄핵선고일#4월4일
[플로리다 홈리뷰] 롯데마트와 30분거리 새집보다 좋은 리세일 랜치하우스!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미리미리 세금 안 내는 플랜으로 준비하세요~ #노후 #저축 #연금 #IRA #Roth
[애틀랜타 홈리뷰] 게이트가 있어 더욱 안전한 타운하우스, 40만불 초에 잡을 수 있는 찬스!
[아틀란타 마트 추천] 타지에서 내 고향 찐 음식이 그리울 때, 알짜배기만 모아놓은 이곳으로 와보세요!! #울타리몰 #Wooltari
[애틀랜타 홈리뷰] 스케일이 다르다! 아무나 따라할 수가 없다! 상도 베가스에서 타는 조지아 부동산은 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