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아시안 증오범죄 사건이 거의 매일 뉴스에 등장하고 있지만 미 형사사법저널의 연구 보고서가 “이러한 증오범죄는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하고 나섰다.
‘아시안 증오범죄 보고서’로 불리는 이 자료는 1992년부터 2014년 사이에 신고된 증오범죄 사례를 기반으로 아시안 증오범죄와 흑인 또는 히스패닉 증오범죄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증오범죄의 피해자는 18~34세 사이의 젊은 층이 대부분이지만 최근 보고된 아시안 증오범죄의 피해자는 대부분 노약자와 여성으로 면식범이 아닌 낯선 사람으로부터 공격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흑인이나 히스패닉 대상 증오범죄의 가해자는 대부분 백인인 것과 달리, 아시안 대상 증오범죄의 가해자는 비백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아시아계가 ‘모범적인 소수계’(model minority)로 평가받으면서 이를 곱게 보지 않는 타인종 범죄자의 공격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모범적인 소수계’라는 평가는 지나치게 성공지향적인, 이기적인 사람들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게 되고 이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다른 소수계나 반이민성향의 사람들에게 아시안에 대한 경쟁심과 위협, 반감을 부추기게 된다. 이를 악용하는 정치인들도 적지 않은 만큼 보고서는 “이러한 인식이 분노로 이어지면 증오범죄가 발생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경찰에 신고된 자료만을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연구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실제로 얼마나 많은 범죄가 발생하는지는 반영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아시아계의 범죄 신고는 타인종에 비해 현저히 낮기 때문이다. 소수계 이민자들은 언어나 문화적 차이로 경찰에 신고하는 것을 주저하게 되고 그만큼 범죄의 대상이 되기도 쉽다고 경고했다.
<유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