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C 트럼프 취임 후 조지아 변화 분석
CDC 등 대량해고 지역경제 타격
이민단속 강화 연방정부와 보조
전기차등 친환경 허브 성장 차질
취임 한 달을 맞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충격과 공포’ 전략이 국제사회와 미 전역은 물론 조지아 곳곳에서도 광범위한 파급력을 미치고 있다.
연방공무원의 대량해고와 일부 정부기관 폐지 추진, 대규모 관세 부과, 친환경정책 폐지와 대규모 이민단속 개시 그리고 트랜스젠더 권리 박탈과 이른바 DEI 정책 폐지 등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많은 분야에서 마찰음을 빚고 있다.
트럼프 취임 한 달 동안 조지아가 겪은 변화와 영향을 분석한 AJC 기사를 요약 소개한다.
▪경제∙무역
대외 무역 의존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조지아로서는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되는 분야다.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혹은 부과 경고에 이어 다음 달 발효되는 철강 및 알류미늄 관세는 조지아 경제 전반에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경제전문가들은 코카콜라 캔부터 건설용 철골자재까지 다양한 제품가격이 인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농업과 일부 제조업 분야에서는 외국 기업과의 공정한 경쟁을 이유로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시각도 있다.
▪예산삭감 ∙대량해고
1월 발표된 행정명령으로 조지아에서만 수백억 달러의 연방지원예산이 동결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피해는 조지아 취약계층에게 가장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삭감 추진 중인 국립보건원 예산 40억 달러 중에는 조지아 연구기관에 할당된 1억 달러도 포함돼 있다. 조지아 연구기관들은 일부 연구가 중단될 위험성을 우려하고 있다. 애틀랜타에 본부를 두고 있는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만 1,000명이 넘는 직원 해고로 인해 애틀랜타 지역사회 보건과학 분야는 물론 주택 의료 등 많은 분야에서 파장이 예상된다.
▪이민정책∙사회 이슈
조지아가 트럼프 행정부와 손발을 맞추고 있는 대표적 분야다. 주의회는 트럼프의 레이큰 라일리법 제정과 대규모 이민단속에 맞춰 이민단속에 협조하지 않은 지방정부의 주권면책특권을 박탈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더 강력한 다른 반이민법안도 추진될 예정이다. 다양성과 형평성 및 포용성(DEI) 정책 폐지에 호응해 트랜스젠더의 여성 스포츠 경기 참가를 금지하는 법안도 발의했다.
▪에너지∙친환경정책
‘클린테크’프로젝트를 통해 친환경 에너지 허브로 떠오르고 있는 조지아에게 큰 타격이 예상되는 분야다.자동차 배출규제 철회와 전기차 세금공제 혜택 폐지에 대해서는 브라이언 캠프 주지사 조차 트럼프 행정부를 비난하고 나서고 있다. 조지아 전력망 업그레이드 사업과 애슨스 전기차 충전 및 배터리 설치 프로젝트, 노크로스의 친환경 에너지 인력양성 프로그램 등의 미래 여부가 당장 불투명한 상황이 됐다. 현대 메타플랜트를 중심으로 급성장 중인 전기차 산업에도 제동에 걸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이필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