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시설 건립에 지원
삼성·SK 52억달러 규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기에 제정된 반도체법 폐지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연방 의회에서 행한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반도체법과 남은 것은 모두 없애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을 향해 “그 돈으로 부채를 줄이거나 다른 어떤 이유든 원하는 대로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
이 언급은 자신의 집권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소프트뱅크, 오라클, 애플, TSMC 등 빅테크 및 반도체 기업들이 대규모 대미 투자를 약속했다고 거론하면서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미국에 투자하는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해 투자를 유도하는 반도체법과 관련,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기업에 보조금을 주지 않고도 투자를 유치할 수 있다며 반도체법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법을 거듭 비판한 뒤 “우리는 수천억 달러를 (보조금으로) 주지만 아무 의미도 없다”며 “그들은 우리의 돈을 가져가서 쓰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도체법은 2022년 연방 방연의회에서 초당적으로 통과된 법안으로 미국에 반도체 생산시설을 건립하는 업체에 527억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 골자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법 폐지 방침을 거듭 밝힘에 따라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한 삼성,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타격을 입을지 주목된다.
삼성전자는 현재 건설 중인 테일러 파운드리 공장에 오는 2030년까지 370억달러 이상을 투자하기로 하고 연방 상무부와 지난해 말 47억4,500만달러의 직접 보조금 지급 계약을 체결했다.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38억7,000만달러를 투자해 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기로 한 SK하이닉스도 최대 4억5,800만달러의 직접 보조금 지급이 결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