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은 뇌와 뇌 척수액으로 가득 차 있는 머리 속에 자그마한 틈에 생긴 혹 덩어리(종양)을 말한다. 종양은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뇌종양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각각 위치마다 기능이 다르고 한 번 손상되면 완전 회복이 어렵기 때문이다.
뇌종양으로 생긴 두통 새벽에 두드러져
뇌종양의 가장 흔한 증상은 두통이다. 뇌종양 환자의 70%가 두통을 호소한다. 특히 반복ㆍ지속적이고, 약을 먹어도 호전되지 않으며, 강도가 점점 세지는 두통이 있으면 뇌종양을 의심해야 한다.
■두통으로 잠 설친다면 의심해야 할 뇌종양
뇌종양(악성, 양성) 진단받은 환자가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악성의 경우 2020년 1만,603명, 2021년 1만1,945명, 2022년 1만2,140명이었고, 양성은 2020년 4만7,685명, 2021년 5만1,842명, 2022년 5만5,382명이었다.
양성 뇌종양은 뇌를 싸고 있는 경막에서 발생하는 수막종이 가장 흔하다. 그 다음으로 뇌하수체 종양, 청신경초종 등이 있다. 악성 뇌종양은 다른 장기 암이 뇌로 전이돼 발생하는 전이성 뇌종양이 가장 흔하다.
박봉진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뇌종양의 대표적인 증상은 두통”이라며 “여유 없는 공간에 혹이 자리잡아 뇌 압력을 높이기 때문”이라며 “생활하다가 흔히 겪는 편두통과 달리 뇌종양에 의한 두통은 새벽에 더 심해진다”고 했다.
박 교수는 “잠자는 동안 호흡량이 줄어들고 혈액 속 이산화탄소가 쌓여 뇌혈관이 확장되고 혈액량이 뇌에 몰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뇌는 크게 5개 영역(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소뇌반구)으로 나뉜다. 뇌종양 증상은 종양 발생 위치에 따라 다르다. 발병 원인으로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자 변이, 방사선 혹은 화학물질 영향, 외상, 바이러스, 호르몬 변화 등을 발병 위험 요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느리지만 계속 자라는 ‘양성 뇌종양’
양성 뇌종양은 악성보다 많이 발병하지만 진행 속도가 느리다. 증상이 없거나 크기가 작으면 수술하지 않고 추적 관찰만 하기도 한다. 다만 크기가 작더라도 뇌와 척수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기에 각종 영상 검사와 의료진과 상담해 치료 여부를 정해야 한다.
박봉진 교수는 “뇌종양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종양을 직접 절제하는 것”이라며 “뇌종양은 위치와 크기, 양성·악성 여부, 재발 정도에 따라 치료 난이도와 치료 반응이 달라지기에 두려움때문에 치료를 미루기보다 수술 경험이 많고 전문성을 갖춘 전문의를 택하는 게 치료 첫 단계”라고 했다.
최근에는 이동식 영상 장비와 기능성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시행해 정확한 병변 위치나 주요 구조물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병변 변형 교정과 제거 정도까지 확인하는 등 이전보다 수술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안전성이 확보되고 있다.
개두술보다 환자 부담감이 적은 뇌 내시경 수술은 뇌하수체 선종이나 전두개 기저부 종양에 적용 가능하다.
■수술적 치료와 동등한 효과 보이는 ‘감마나이프 수술’
전신마취와 피부 절개 없이 진행되는 감마나이프 수술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뇌종양이나 전이성 뇌종양에 흔히 시술되고 있으며, 종양 성장을 억제해 치료한다.
수술로 종양이 완전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거나, 환자의 내과적 문제로 수술하기 어렵다면 감마나이프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박창규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감마나이프 수술은 머리를 절개하지 않고 파장이 짧은 감마 방사선을 병변에만 집중적으로 쬐기에 주위 뇌 조직 손상과 이에 따른 합병증을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회복도 빠르다”며 “특히 병변이 작을수록 방사선을 충분히 쬘 수 있어 효과가 크다”고 했다.
뇌종양이 양성이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커져 주위 뇌 조직이나 신경 등을 자극하거나 압박할 수 있기에 종양이 더 이상 커지지 않게 하는 게 중요하다. 여러 연구 결과, 양성 종양의 감마나이프 수술을 시행하면 종양 성장 억제 효과가 수술적 치료와 같지만 합병증은 오히려 적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